터벌림장단 (5 릴 슬롯)

경기도 도당굿 / 터벌림 / 터잽이
경기도 도당굿 / 터벌림 / 터잽이
국악
개념
경기도 지역의 도당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10/8박자의 장단. 반설음 · 반서름.
이칭
이칭
반설음, 반서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지역의 도당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10/8박자의 장단. 반설음 · 반서름.
개설

경기도 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5 릴 슬롯으로서 혼소박 4박 (10/8박자) 5 릴 슬롯이다. 반설음 또는 반서름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경기도 굿음악이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무당의 춤을 반주하는 겹마치5 릴 슬롯도 매우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내용

5 릴 슬롯장단은 경기도 도당굿에서 ‘5 릴 슬롯’을 할 때 화랭이의 춤을 반주하는 장단이다. 5 릴 슬롯은 ‘터를 벌린다’는 의미이다. 굿이 부정굿으로 시작해서 전반부 절차가 끝나면 화랭이가 굿판을 재정비하고 주위를 환기시키면서 터를 벌리기 위해 5 릴 슬롯을 연행한다. 5 릴 슬롯춤은 5 릴 슬롯, 연결채, 겹마치기로 이어진다. 이때 연주하는 5 릴 슬롯장단은 2소박과 3소박이 2+3+2+3으로 혼합된 혼소박 4박 (10/8박자) 장단이다. 5 릴 슬롯은 발설음 또는 반서름이라고도 하는데, 이외에도 손굿 등에서도 연주한다. 한편 1930년대 명무(名舞) 한성준이 5 릴 슬롯장단과 경기도 굿에서 연행되는 춤을 토대로 창작한 태평무의 반주장단으로도 5 릴 슬롯장단이 쓰인다.

현황

경기도 도당굿에서 5 릴 슬롯을 연행하기 때문에 5 릴 슬롯장단을 쉽게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5 릴 슬롯장단은 굿음악이지만 20세기 전반기에 민속무용인 태평무에 쓰이면서 널리 알려졌다.

참고문헌

『5 릴 슬롯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이용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한국의 5 릴 슬롯』 (김청만ㆍ김광섭, 민속원, 2002)
『한국의 무속5 릴 슬롯』 (임수정, 민속원, 199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릴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5 릴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