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5 릴 슬롯으로서 혼소박 4박 (10/8박자) 5 릴 슬롯이다. 반설음 또는 반서름이라고도 한다.
경기도 굿음악이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무당의 춤을 반주하는 겹마치5 릴 슬롯도 매우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5 릴 슬롯장단은 경기도 도당굿에서 ‘5 릴 슬롯’을 할 때 화랭이의 춤을 반주하는 장단이다. 5 릴 슬롯은 ‘터를 벌린다’는 의미이다. 굿이 부정굿으로 시작해서 전반부 절차가 끝나면 화랭이가 굿판을 재정비하고 주위를 환기시키면서 터를 벌리기 위해 5 릴 슬롯을 연행한다. 5 릴 슬롯춤은 5 릴 슬롯, 연결채, 겹마치기로 이어진다. 이때 연주하는 5 릴 슬롯장단은 2소박과 3소박이 2+3+2+3으로 혼합된 혼소박 4박 (10/8박자) 장단이다. 5 릴 슬롯은 발설음 또는 반서름이라고도 하는데, 이외에도 손굿 등에서도 연주한다. 한편 1930년대 명무(名舞) 한성준이 5 릴 슬롯장단과 경기도 굿에서 연행되는 춤을 토대로 창작한 태평무의 반주장단으로도 5 릴 슬롯장단이 쓰인다.
경기도 도당굿에서 5 릴 슬롯을 연행하기 때문에 5 릴 슬롯장단을 쉽게 볼 수 있다.
5 릴 슬롯장단은 굿음악이지만 20세기 전반기에 민속무용인 태평무에 쓰이면서 널리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