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쳐 3 슬롯 모드 청실홍실 (실)

대중음악
작품
1956년 조남사 작사, 손석우 작곡의 라디오드라마 주제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위쳐 3 슬롯 모드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6년 조남사 작사, 손석우 작곡의 라디오드라마 주제가.
구성 및 형식

3/4박자 왈츠 리듬의 장조, 네 도막의 위쳐 3 슬롯 모드로 가사는 3절까지 있다. 남녀 두 가수가 교환창으로 나누어 부른다.

내용과 현황

KBS의 1956년 라디오드라마의 주제가로, 극작가 조남사가 가사를 쓰고 당시 KBS 방송국 악단 지휘자였던 손석우가 작곡했다. 1956년 시작된 라디오드라마 「청실홍실」은 고정시간대에 방영된 첫 연속극이다. 주제가 「청실홍실」도 드라마 주제가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 되었다. 이후 1970년대 초까지 라디오드라마가 대중적 인기를 모으면서 라디오드라마 주제가 역시 대중가요로서도 인기를 모으는 위쳐 3 슬롯 모드로 자리하게 된다. 드라마 주제가로 방송될 때에는 안다성과 송민도가 함께 불렀고, 1957년 영화로 리메이크 되었을 때에는 현인과 백일희가 함께 불렀다. 드라마 「청실홍실」은 1970년대에도 텔레비전드라마로 리메이크되었는데, 이 위쳐 3 슬롯 모드는 그때에도 주제가로 쓰일 정도로 긴 인기를 누린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이 위쳐 3 슬롯 모드는 1960년대 초 스탠더드팝의 시대를 여는 중심적인 작곡가인 손석우의 작곡 첫 발표작으로서도 의미 있다. 일제 말 조선악극단에서 기타리스트로 활동을 시작하여 해방 후 KPK악극단을 거친 손석우는 이 시기부터 트로트를 벗어난 스탠더드팝 계열의 위쳐 3 슬롯 모드를 짓기 시작한다. 「청실홍실」에 이어 「나 하나의 사랑」, 「꿈은 사라지고」 등 1950년대 후반에 인기를 모은 초기 작품들은 모두 세미클래식이라 할 정도로 일관성 있는 단정한 구조와 절제된 감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사에서도 탄식과 애수의 신파적 표현을 벗어나, 아름다운 사랑의 성취와 그 기쁨을 우아하게 표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방송극 주제가의 인기 경향과 흐름」(이영미, 『민족위쳐 3 슬롯 모드논총』 35집, 영남대학교 민족위쳐 3 슬롯 모드연구소, 2007.6)
집필자
이영미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위쳐 3 슬롯 모드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위쳐 3 슬롯 모드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