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평양 복사리 벽화분 ( )

고대사
유적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이칭
이칭
복사리벽화무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개설

평양 램 슬롯리벽화분은 황해남도 안악군 월암산 북쪽 능선 끝 구릉의 남쪽 경사면에 자리 잡은 고구려시대 벽화무덤이다. 이 무덤은 관개 양수장 건설에 필요한 큰 돌을 파내다가 발견되었다.

내용

램 슬롯리벽화분은 무덤칸이 반지하에 축조되었다. 무덤방향은 동쪽으로 15° 기운 남향으로 널길〔羨道〕이 널방〔玄室〕의 남벽 동반부에 치우쳐 설치되었다. 널길 입구의 바깥쪽에 나무문을 달았다가 무덤을 폐쇄하면서 길이×너비×두께 1.90m×1.10m×15㎝ 크기의 판돌을 그 앞에 세웠음이 확인되었다. 널방 입구의 널길 동벽과 서벽에 나무문이 설치되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널길과 널방으로 이루어진 외방무덤〔單室墳〕으로 널길 좌우에 감(龕)이 있다. 널길의 길이×너비×높이는 각각 2.40m×1.10m×1.50m이고, 널길 동쪽 감은 50㎝×85㎝×75㎝, 서쪽 감은 55㎝×75㎝×60㎝, 널방은 3.55m×3.60m×3.20m이다. 널방 천장은 활식〔穹窿式〕이다. 두께 10㎝ 내외의 편마암 절석으로 벽돌 쌓듯이 널방의 벽을 쌓은 이후 벽에 두껍게 회를 발랐다. 널방 바닥에도 회를 미장하였다. 널방 서남 모서리에 붙여 1.10m×55㎝×15㎝ 크기의 긴네모모양〔長方形〕제단이 설치되었다. 무덤 안에서 쇠널못 4개와 회색항아리조각〔灰色壺片〕1점, 노끈무늬토기조각 1점이 수습되었다. 널방 벽과 천장에는 벽화를 그렸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이지만 회벽의 박락이 심하여 널방 벽 대부분과 널방 천장부 상당 부분의 벽화는 남아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램 슬롯리벽화분은 널길 동벽·서벽에 퇴화형 감이 설치되었고 널방 천장이 활식인 점, 벽화 주제가 생활풍속이고 널방 천장벽화가 구름과 별자리를 기본 제재로 삼아 구성된 점 등을 통해서 볼 때 그 조성시기는 4세기 말로 여겨진다. 이 시기로 편년되는 근처의 벽화고분으로는 안악1호분이 있다. 램 슬롯리벽화분은 고구려 고분벽화들 가운데 초기에 해당하는 자료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램 슬롯고고학전문사전-고분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고구려고분램 슬롯의 세계』(전호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고구려고분램 슬롯연구』(전호태, 사계절, 2000)
『조선유적유물도감』6-램 슬롯편4-(조선유적유물도감편집위원회 편, 외국문종합출판사, 1990)
「황해남도 안악군 램 슬롯리벽화무덤」(전주농·과학원고고학및민속학연구소,『각지유적정리보고-고고학자료집3-』, 과학원출판사, 1963)
「최근에 발견된 고구려 램 슬롯무덤」(전주농,『문화유산』1961년 1호, 과학원출판사, 1961)
집필자
전호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