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 닫집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닫집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닫집
건축
개념
불단이나 어좌 위에 목조건물의 처마구조물처럼 만든 조형물. 당가.
이칭
이칭
당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5 릴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불단이나 어좌 위에 목조건물의 처마구조물처럼 만든 조형물. 당가.
연원 및 변천

5 릴 슬롯은 산개(傘蓋)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면 주인공 머리 위5 릴 슬롯 항상 양산이 받쳐져 있는 것을 볼 5 릴 슬롯다. 또 인도불교와 힌두교 사원에서 신상위에는 항상 천으로 만들고 화려한 장식을 한 보개(寶蓋)가 씌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산개와 보개가 건축화하여 5 릴 슬롯으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산개나 보개는 모두 양산에서 기원하여 5 릴 슬롯으로 발전해 갔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불전이나 궁궐 정전에는 불단이나 어좌 위에 작은 집 모형을 만들어 걸었는데, 이를 5 릴 슬롯이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당가(唐家)라고 쓴다.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등에는 어좌위에 설치되었던 5 릴 슬롯의 도면이 수록되어 있다. ‘닫’은 ‘따로’라는 옛말이므로 ‘따로 지어놓은 집’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산개가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불전의 5 릴 슬롯과 궁궐의 5 릴 슬롯은 별개로 발전과정을 거쳐 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부처를 중앙에 모셨던 고대 불전에서는 금당이 부처님 집이었으므로 5 릴 슬롯이 필요 없었다. 그러나 예불의례가 금당 바깥을 도는 요잡(繞匝) 중심이었다가 차츰 금당 안으로 들어가 절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마루가 깔리고 불단이 뒤로 밀리면서 금당 안에 부처님의 집을 별도로 만들기 시작한 것이 5 릴 슬롯으로 정착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5 릴 슬롯은 불국정토의 궁전을 가리키는 적멸궁, 칠보궁, 만월궁 등을 상징하는데, 이들은 각각 석가, 아미타, 약사를 모시는 궁전이다.

5 릴 슬롯은 모양에 따라 보궁형(寶宮形), 운궁형(雲宮形), 보개형(寶蓋形)이 있다. 보궁형은 공포를 짜 올려 건물처럼 만든 화려한 5 릴 슬롯으로 가장 많다. 공포 아래에는 짧은 기둥이 달려 있는데 이를 헛기둥[虛柱]이라고 한다. 운궁형은 앞쪽에 장식판재인 염우판(廉遇板)이나 적첩판(赤貼板)만을 건너지르고 안쪽에 구름, 용, 봉, 비천 등으로 장식한 천장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개심사 대웅전, 봉선사 금당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천장 일부를 감실처럼 속으로 밀어 넣은 형태인데 고대 불전에서 많이 보인다. 대표적으로 무위사 극락전봉정사 대웅전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5 릴 슬롯이라고 하기보다는 보개천장으로 불리며 천장의 한 종류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미와 역할은 5 릴 슬롯과 같다. 인정전에서는 5 릴 슬롯과 보개천장이 동시에 설치된 사례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5 릴 슬롯』(심대섭, 대한불교진흥원, 2010)
『알기쉬운 5 릴 슬롯건축 용어사전』(김왕직, 동녘, 2007)
『5 릴 슬롯건축대계4-5 릴 슬롯건축사전』(장기인, 보성각, 2005)
「불전 속의 하늘궁전, 5 릴 슬롯」(신대현, 불교문화 통권101호, 2009)
「5 릴 슬롯 구성체계의 해석을 통한 선방설계」(김주철, 경기대학교석사논문, 1998)
「5 릴 슬롯에 관한 연구」(신지용, 이화여자대학교석사논문,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5 릴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5 릴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