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전이나 궁궐 정전에는 불단이나 어좌 위에 작은 집 모형을 만들어 걸었는데, 이를 5 릴 슬롯이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당가(唐家)라고 쓴다.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등에는 어좌위에 설치되었던 5 릴 슬롯의 도면이 수록되어 있다. ‘닫’은 ‘따로’라는 옛말이므로 ‘따로 지어놓은 집’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산개가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불전의 5 릴 슬롯과 궁궐의 5 릴 슬롯은 별개로 발전과정을 거쳐 왔다고 추론할 수 있다.
부처를 중앙에 모셨던 고대 불전에서는 금당이 부처님 집이었으므로 5 릴 슬롯이 필요 없었다. 그러나 예불의례가 금당 바깥을 도는 요잡(繞匝) 중심이었다가 차츰 금당 안으로 들어가 절하는 것으로 바뀌면서 마루가 깔리고 불단이 뒤로 밀리면서 금당 안에 부처님의 집을 별도로 만들기 시작한 것이 5 릴 슬롯으로 정착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5 릴 슬롯은 불국정토의 궁전을 가리키는 적멸궁, 칠보궁, 만월궁 등을 상징하는데, 이들은 각각 석가, 아미타, 약사를 모시는 궁전이다.
5 릴 슬롯은 모양에 따라 보궁형(寶宮形), 운궁형(雲宮形), 보개형(寶蓋形)이 있다. 보궁형은 공포를 짜 올려 건물처럼 만든 화려한 5 릴 슬롯으로 가장 많다. 공포 아래에는 짧은 기둥이 달려 있는데 이를 헛기둥[虛柱]이라고 한다. 운궁형은 앞쪽에 장식판재인 염우판(廉遇板)이나 적첩판(赤貼板)만을 건너지르고 안쪽에 구름, 용, 봉, 비천 등으로 장식한 천장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개심사 대웅전, 봉선사 금당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천장 일부를 감실처럼 속으로 밀어 넣은 형태인데 고대 불전에서 많이 보인다. 대표적으로 무위사 극락전과봉정사 대웅전에서 볼 수 있다. 보개형은 5 릴 슬롯이라고 하기보다는 보개천장으로 불리며 천장의 한 종류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미와 역할은 5 릴 슬롯과 같다. 인정전에서는 5 릴 슬롯과 보개천장이 동시에 설치된 사례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