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이인상 전서 원령필 ( )

이인상 전서 원령필
이인상 전서 원령필
서예
문헌
국가유산
영조 연간에 활동했던 문인 서화가 이인상(李麟祥)의 전서(篆書)를 모아놓은 서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전서 원령필(李麟祥 篆書 元靈筆)
분류
기록유산/서간류/서예/서예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0년 10월 25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영조 연간에 활동했던 문인 서화가 이인상(李麟祥)의 전서(篆書)를 모아놓은 서첩.
구성 및 형식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상·중·하 3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198면으로 이루어진 서첩이다. 『주역(周易)』 건괘(乾卦) 문언전(文言傳)의 내용을 대자 행서로 쓴 “見龍在田 天下文明(현룡재전 천하문명)”을 제외하고 모두 아리스 토크 랏 슬롯로 썼다. 매 작품이 끝나는 부분에 시문의 제목 또는 이름과 자인 ‘원령(元靈)’·‘인상(麟祥)’을 써놓았다. 모두 친필로 썼으나 대자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읍창루(挹蒼樓)”는 목판에 양각으로 새긴 글씨의 탑본이다.

내용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전서 원령필(李麟祥 篆書 元靈筆)』은 영조 연간에 활동했던 문인서화가 아리스 토크 랏 슬롯(李麟祥)이 중국과 우리나라의 시문을 다양한 전서(篆書)로 쓴 서첩이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전서와 예서를 잘 썼는데 특히 전서는 소전(小篆)에서 종정금문(鐘鼎金文)에 이르기까지 넓게 익혔다. 법에 얽매이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호기(豪氣)있게 써서 기(奇)하다는 평을 받았다. 그는 위아래로 긴 소전의 자형에 비해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자형을 즐겼으며, 운필에 있어서도 둥글게 굽는 원필(圓筆)을 즐겨 썼다. 그의 서풍은 이한진(李漢鎭)과 유한지(兪漢芝)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전각(篆刻)도 잘했는데 추사 김정희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문자향(文字香)을 높게 평가하면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전각은 이백년 이래 따를 사람이 없다.”고 상찬하였다. 이밖에 해서와 행서는 당(唐) 안진경(顔眞卿)의 서풍을 수용하였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전서 원령필』은 상·중·하 3첩으로 표지에 ‘원령필(元靈筆)’이라 씌어 있으며 그 밑에 각기 상·중·하로 표시되어 있다. 장황 형식은 종이바탕을 첩장(帖裝)처럼 배접하고 이를 표지와 함께 선장(線裝)했는데, 상첩(上帖) 표지가 떨어져나간 것 외에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작품이 끝나는 부분에 시문의 제목을 쓰거나 ‘원령(元靈)’·‘인상(麟祥)’ 등 자와 이름을 써놓았다. 필적의 내용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시문으로, 『시경(詩經)』 국풍(國風) 중 「실솔편(蟋蟀篇)」을 비롯하여 위(魏) 혜강(嵇康)의 「증수재입군(贈秀才入軍)」, 숙종·영조 연간에 활동했던 이재(李縡)의 「경차퇴계선생병명(敬次退溪先生屛銘)」, 명(明) 왕양명(王陽明)의 「서신(書贐)」, 송(宋) 주희(朱熹)의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과 「윤군자상찬(六君子像贊)」 등이다. 이 서첩은 현존하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필첩 가운데 가장 많은 글씨가 실려 있어 그의 다양한 전서풍을 살필 수 있다. 이 서첩에는 정방형의 짜임에 획이 굵고 힘찬 필치의 전서, 획이 가늘고 일정한 옥저전(玉箸篆) 계통의 전서, 갈필(渴筆)을 사용한 특유의 운치 있는 전서 등이 다양하게 구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현존하는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필첩 중 가장 많은 글씨가 실려 있고 서풍 또한 다양하여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전서의 역량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의 옛글씨』(문화재청, 2009)
집필자
유지복
    • 항목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