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 묘길상 ()

금강 묘길상 정면
금강 묘길상 정면
불교
작품
북한 강원도 금강군에 있는 고려시대 아미타구품인 손 모양의 마애불. 불상.
이칭
이칭
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 마하연묘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스 캐터습니다.
정의
북한 강원도 금강군에 있는 고려시대 아미타구품인 손 모양의 마애불. 불상.
역사적 변천

슬롯 스 캐터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像)를 조각한 것이다. 18세기 말 부근에 있던 슬롯 스 캐터 암자의 이름을 이 부처 옆에 새긴 이후로 슬롯 스 캐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소속절을 밝혀 마하연슬롯 스 캐터이라고도 한다.

내용

슬롯 스 캐터은 금강산 내금강지역에 있는 만폭동 골짜기의 높이 40m 벼랑에 새긴 고려시대의 마애불이다. 슬롯 스 캐터은 높이 15m, 너비 9.4m이며, 얼굴은 높이 3.1m, 너비 2.6m이고 눈의 길이는 1m, 귀의 길이 1.5m, 손의 길이 3m, 발의 길이 3.2m이다. 슬롯 스 캐터은 결가부좌를 틀고 앉은 모습에 손 모양〔手印〕은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 오른손을 위로 쳐들고 왼손은 아래로 내리고 있는 手印)을 하고 있다. 얼굴부분은 섬세하고 부드럽게 표현한 반면, 옷 주름은 굵고 강하게 처리하였다.

특징

부처의 웃고 있는 얼굴, 긴 눈썹, 가늘게 뜬 실눈, 이마의 백호(白毫), 유달리 길게 드리워진 큰 귀, 통통한 볼, 짧은 목, 앞가슴을 드러내고 두 어깨에 걸친 옷의 주름 등은 고려시대 아미타여래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슬롯 스 캐터 앞에는 간결하고 검소하게 만든 고려시대의 돌등이 서있다.

의의와 평가

슬롯 스 캐터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대표적인 마애불이며,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과 조각기술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102호로 지정되어 보존 ·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국립슬롯 스 캐터재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11(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대백과사전』9(백과사전출판사, 1999)
『조선유적유물도감』11(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스 캐터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스 캐터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