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판형. 136면. 심상사에서 1979년 9월 20일에 발행하였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은 목차, 50편의 작품, 성찬경(成贊慶)의 해설(「원(圓)에 환원된 조화와 심도」), 시인의 ‘후기’로 구성되어 있다. 속표지의 저자초상을 김영태(金榮泰)가 그렸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에 실린 50편의 시들은 주로 여행과 일상에서 얻은 시정들을 다루고 있다. 그 중에는 인도 시인대회 여행 중에 쓴 시편과 ‘열병’ 연작이 눈에 띤다. 시집 말미에 수록된 ‘저자 약력’에 따르면, 시인은 1975년에 ‘아세아 시인대회’가 열리는 인도 ‘마드래스(Madras)’를 여행하였는데, 이 여행 중에 쓴 시편이 「여름 까마귀」, 「뱅갈만에서」, 「마드래스여 안녕」 등이다.
이 중 「마드래스여 안녕」은 “하늘과 숲이 맞닿은 꿈의 도시/진주빛 검은 열매는 안으로 익고/그대 눈빛 마주친 「라자지」 홀에서 아시아의 시는 술처럼 익는다”로 시작하는데 시인대회에서 느낀 시정을 잔잔하게 형상화하고 있다. 이 밖에도 「부마인 크래프트 슬롯」이나 「공주에서」 등 다수의 마인 크래프트 슬롯 시편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열병’ 연작 6편은 화자의 탄생과정을 극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열병1」은 “내가 어머니 뱃속에/잠들고 있을 때/서쪽 하늘 마른 번개가/서둘러 댔다”와 같마인 크래프트 슬롯작한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에는 불교적 색채가 돋보이는 작품들이 많은데 「원왕생가」나 「관세음상」 등이 그런 작품들이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는 바로 ‘달’이다. 표제시 「불타는 달」은 “노란 빛을 내 살 속에 뼈 속에/넣어 주던” 모습에서 “까만 숯”이 된 달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모습을 바꿔가는 달을 형상화하는 작품이다.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은 여행과 일상에서 느낀 시정을 담담하면서도 상징적인 기법을 동원하여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마인 크래프트 슬롯집의 시들은 불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사물 이미지의 추구와 삶의 모순에 대한 인식 등 다양한 주제와 표현 양식을 탐구하는 작품들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