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 슬롯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 )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불교
문헌
국가유산
고려전기 『아비달마식신족론』의 권12를 단권으로 인출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권자본 · 초조본.
이칭
이칭
식신족론(識身足論), 식신론(識身論), 설일체유부식신족론(說一切有部識身足論)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초조본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 권12(初雕本 阿毗達磨識身足論 卷十二)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대장도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1년 07월 12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핑크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아비달마식신족론』의 권12를 단권으로 인출한 불교경전. 대장도감본 · 권자본 · 초조본.
개설

1991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16권은 인도의 승려인 제바설마(提波說摩: 기원전 2세기)가 찬술(撰述)하고, 중국 당(唐)나라 현장(玄奘)법사가 649년에 한역(漢譯)한 것이다.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阿毘達磨識身足論)』권12는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16권 중에서 잔존(殘存)한 권12의 단권(單卷)으로, 1권(卷)1축(軸)의 권자본(卷子本)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내용은 소승불교(小乘佛敎)의 일파(一派)인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의 근본교리를 논한 논서(論書)이다. 즉 성불(成佛)하는데 필요한 부처님의 지혜를 체계적으로 모아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권자본(卷子本)으로 호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중국 당(唐)나라 현장(玄奘)이 한역(漢譯)한 것이 개보칙판대장경(開寶則板大藏經)에 편입되었고, 이것이 고려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氣(기)·蓮(연)’의 함차(函次)에 수록됨으로써,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에도 편입되었다.

서지적 사항

1권 1축. 권자본(卷子本). 책 크기는 29.5㎝×1209.0㎝이며, 판식(板式)은 상하단변(上下單邊)에 무계(無界: 계선이 없음)이며, 광고(匡高)는 21.0㎝핑크 슬롯. 행자 수는 23행(行) 14자(字)로 장(張) 크기는 29.5㎝×46.5㎝핑크 슬롯.

권두제(卷頭題)는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권제십이(阿毘達磨識身足論卷第十二)’로 되어 있으며, 판수제(板首題)는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 권제십이 제이장 연(阿毘達磨識身足論 卷第十二 第二丈 連)’으로 되어 있다. 장차(丈次)는 ‘제이장(第二丈)’이며, 함차(函次)는 ‘연(連)’으로 되어 있다. 권미제(卷尾題)는 ‘설일체유부핑크 슬롯족론 권제십이(說一切有部識身足論 卷第十二)’이다.

내용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은 소승불교 근본설일체유부의 ‘근본6족론(六足論)’ 가운데 하나로,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등 6핑크 슬롯(識身)을 기초로 하여 설일체유부의 근본교리를 논한 것이다. 이 책의 약칭(略稱)은 ‘핑크 슬롯족론(識身足論)’ 또는 ‘핑크 슬롯론(識身論)’이며, ‘설일체유부핑크 슬롯족론(說一切有部識身足論)’으로 별칭(別稱)된다.

이 권자본의 첫머리(卷頭)에 있는 권두제(卷頭題)는 ‘아비달마핑크 슬롯족론 권제12(阿毘達磨識身足論 卷第十二)’라 기록되어 있고, 권자본의 말미(末尾)에 기록되어 있는 권미제(卷尾題)에는 ‘설일체유부핑크 슬롯족론 권제12(說一切有部識身足論 卷第十二)’라고 기입(記入)되어 있다. 즉 권두제에서는 정식 서명(書名)을 기록하고 있고, 그 권미제에서는 별칭의 서명을 기록하고 있음이 이채롭다.

또한 표지(表紙)와 권축(卷軸)을 갖추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불복(佛腹)에 입장(入藏)된 것이 20세기에 와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권(經卷)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탈락하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어 그 보존상태는 매우 양호한 편이며, ‘잡온(雜蘊)’의 내용이 수록핑크 슬롯다.

의의와 평가

닥종이[楮紙]의 지질(紙質) 및 인쇄상태 등으로 미루어 보아 12세기 당시에 인쇄[印出]된 것으로 추정됨으로써, 초조대장경의 인출본 중 귀중본(貴重本)으로 인정된다.

참고문헌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1991지정편-(문화재관리국, 1992)
『초조대장경조사연구』 (천혜봉·박상국, 성보문화재단, 1988)
문화재청(http://www.cha.go.kr)
국가기록유산(http://www.memorykorea.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성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핑크 슬롯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핑크 슬롯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