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영조 을유기로연·경현당수작연도 병 ( · )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
회화
작품
국가유산
1765년(영조 41, 乙酉) 8월에 거행된 기로소(耆老所)의 기로연(耆老宴)과 10월에 경현당(景賢堂)에서 거행된 수작례(受爵禮)를 그린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조 아리스 토크 랏 슬롯연·수작연도 병풍(英祖 耆老宴·受爵宴圖 屛風)
분류
유물/일반회화/기록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7년 10월 24일 지정)
소재지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5, 서울역사박물관 (신문로2가,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65년(영조 41, 乙酉) 8월에 거행된 기로소(耆老所)의 기로연(耆老宴)과 10월에 경현당(景賢堂)에서 거행된 수작례(受爵禮)를 그린 궁중기록화(宮中記錄畵).
내용과 특징

모두 8첩의 병풍으로서 제1첩에는 당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당상이었던 판중추부사 이정보(李鼎輔, 1693-1766)의 서문, 제 2 · 3 · 4첩에는 1765년 8월 18일영조가 왕세손을 데리고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를 방문하여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 내의 영수각(靈壽閣)에서 전배례(展拜禮)를 행하고 그 옆에 위치한 기영관(耆英館)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신들에게 선온(宣醞: 임금이 신하에게 술을 내려주는 일)한 행사가 그려져 있다. 제 5 · 6 · 7첩은 같은 해 10월 11일경희궁의 경현당(景賢堂)에서 영조의 망팔(望八)을 기념하여 수작례(受爵禮)를 행한 장면을 그린 것이다. 마지막 제8첩에는 좌목이 기록되어 있다. 좌목이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신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에서 계병(稧屛)으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서문에는 1765년 8월 18일 영수각에서의 전배례(展拜禮)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의 기영관(耆英館)에서 선온한 일 등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서 그림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결정적인 자료가 된다. 좌목에는 이날 시좌했던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당상 봉조하 유척기(兪拓基, 1691-1767)와 이철보(李喆輔, 1691-1775), 판중추부사 이정보, 지중추부사 박치화(朴致和, 1680-1767), 용양위부사직 정형복(鄭亨復, 1686-1769), 충무위부사직 유최기(兪㝡基, 1689-1768), 공조판서 이태화(李泰和, 1694-1767), 지돈녕부사 심성진(沈星鎭, 1695-?) 등 8명의 성명과 간단한 신상명세가 적혀있다.

이 도병은 시간을 달리하는 두 종류의 행사가 한 도병에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격이 다른 행사이지만 모두 영조의 장수와 관련이 있고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당상들이 참여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한 도병에 그려졌던 것 같다. 첫 번째 장면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의 영수각에 전배례를 마치고 기영관에서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당상들에게 선온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어좌 오른편에 그려진 네모난 욕석(褥席)은 왕세손(정조)가 배종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첫 번째 장면과 동일한 행사내용을 그린 화첩 「친림선온도(親臨宣醞圖)」와 「영수각송(靈壽閣頌)」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두번째 장면은 경현당에서의 진작례를 그린 것이다. 왕세손과 아리스 토크 랏 슬롯당상들이 시연(侍宴)하였으며 덧마루 위에는 처용무(處容舞)가 공연되고 악대가 배열되어 있다. 「영조을유아리스 토크 랏 슬롯연 · 경현당수작연도병」은 18세기 궁중연향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병풍 그림이며 특히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와 관련된 궁중기록화로서도 의의가 큰 작품이다.

참고문헌

『수작의궤(受爵儀軌)』(1765년)
「朝鮮 後期 宮中宴享圖 硏究」(안태욱, 국내박사학위논문 東國大學校, 2014)
「영조의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 행차와 아리스 토크 랏 슬롯소 계첩」(박정혜, 『영수각송과 친림선온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08)
「「영조을유아리스 토크 랏 슬롯연·경현당수작연도병」의 제작배경과 작가」(김양균, 『문화재보존연구』 4, 서울역사박물관, 2007)
「조선 인조-영조 연간의 궁중연향과 미술」(이성미,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3, 민속원, 2001)
집필자
박정혜
    • 항목 아리스 토크 랏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아리스 토크 랏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