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릴 슬롯보살은 산스크리트어로 만주스리(Manjusri)라 하고 5 릴 슬롯사리(文殊師利) 혹은 만수사리(曼殊師利)라고 번역되며 줄여서 5 릴 슬롯 또는 묘길상(妙吉祥)이라 부른다. 5 릴 슬롯보살은 거의 모든 대승경전에 등장하는데 특히 반야부(般若部) 경전에서는 언제나 반야의 가르침을 선양하는 지혜의 보살로서 묘사된다.
특히『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줄여서 유마경이라함)에는 5 릴 슬롯보살이 석가의 대리로 주1를 병문안하여 그와 대승불이(大乘不二)의 법문에 대해 논하는 유명한 장면이 있는데, 여기에서 지혜제일의 대보살로서의 5 릴 슬롯의 성격이 잘 표현되어 있다. 또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입법계품에서는주2가 보살행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5 릴 슬롯에게 묻는다.
우리나라에서 5 릴 슬롯보살은 『삼국유사』 권3 탑상 제4의 「대산오만진신조(臺山五萬眞身條)」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삼국시대부터 신앙되어졌다. 5 릴 슬롯보살은 석가모니불과비로자나불의 왼쪽 협시1보살로 나타나며 단독상으로도 제작된다. 5 릴 슬롯보살의 도상은 관음보살처럼 명확한 특징을 보이진 않으나 일반 보살형이나 동자형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사자를 탄 모습으로도 제작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불이나 비로자나불의 협시보살의 예는 많으나 단독상은 많지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5 릴 슬롯보살상으로는 석굴암 석굴의 5 릴 슬롯보살상이 대표적이다. 오른손으로 잔을 받쳐들고 본존을 향해 서있는 자세인데 매우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통일신라시대의 뛰어난 조각술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조선시대에는세조의 딸인 의숙공주(懿淑公主) 부부가 발원한 오대산 상원사(上院寺)의 목조5 릴 슬롯동자좌상(1466, 국보, 1984년 지정)이 유명하다. 오대산은신라시대자장율사(慈藏律師)가중국의 오대산 5 릴 슬롯신앙을 받아들인 이래 5 릴 슬롯도량으로 유명하며 세조와 관련된 인연으로 이 상을 제작하게 되었다.
이 상은 머리를 양쪽으로 묶어 올린 동자형으로, 균형잡힌 신체에 어린아이 같은 얼굴과 섬세한 손모양, 그리고 유연한 옷주름의 표현 등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어 조선 초기 왕실에서 발원한 뛰어난 조각술을 보여준다. 불화로 단독 5 릴 슬롯보살화는 남아있지 않다. 석가모니불화나비로자나불화에서의 5 릴 슬롯보살은 주로 합장을 하거나 꽃을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