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자리는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 초기까지 사용된 난방과 취사, 조명을 겸용했던 주거시설이다. 신석기시대에 집터나 야외에 흙이나 돌을 돌려 5 드래곤 슬롯을 만들어 취사와 난방을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5 드래곤 슬롯은 구조에 따라 아무 시설이 없는 것, 간단한 토광(土壙) 형태의 것, 가장자리를 따라 점토띠를 두른 것, 토광을 파고 그 가장자리에 돌을 돌린 것, 바닥에 강돌을 깔고 주위에 돌을 돌린 것, 부뚜막 형태의 것 등 여러 가지로 나뉜다. 원삼국시대부터 부뚜막·쪽구들이 등장하면서 취사와 난방을 겸한 온돌문화가 시작되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5 드래곤 슬롯은 그 구조에 따라 아무 시설이 없는 것, 간단한 토광(土壙) 형태의 것, 가장자리를 따라 점토띠를 두른 것, 토광을 파고 그 가장자리에 돌을 돌린 것, 바닥에 강돌을 깔고 주위에 돌을 돌린 것, 부뚜막 형태의 것 등 여러 가지로 나뉜다. 신석기시대에는 위원 용연동 2호집자리의 5 드래곤 슬롯처럼 간단한 토광 형태의 5 드래곤 슬롯과 가장자리를 따라 점토나 돌을 돌린 형태의 5 드래곤 슬롯이 전국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서포항 9호집5 드래곤 슬롯와 같이 바닥에 강돌을 깐 형태의 것도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른 시기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을 돌린 것이 주로 사용되다가 중기 이후에는 토광형 5 드래곤 슬롯이 많이 제작되었다. 5 드래곤 슬롯은 주로 집자리의 정 중앙에 1개씩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주거지의 크기에 따라 2개, 5개(서포항 9호집자리) 등 다수의 5 드래곤 슬롯이 설치된 것도 있다. 한편 서 · 남해안의 소규모 패총을 중심으로 확인되는 일시적 야영지와 같은 곳에서는 둥글게 돌이 깔린 야외노지가 여러 기씩 군집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청동기시대에는 토광형과 토광 주위에 돌을 돌린 형태의 5 드래곤 슬롯이 주로 사용되었다. 토광형 5 드래곤 슬롯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5 드래곤 슬롯으로, 서북한 지방의 팽이형토기 출토 집자리와 남한의 흔암리·역삼동 유형의 집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토광 주위에 돌을 돌린 형태의 5 드래곤 슬롯은 신석기시대의 것이 원형인데 비해 장방형 또는 방형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유형은 미송리형토기 분포권의 주거지와 남한의 가락리 유형 집5 드래곤 슬롯 등 이른 시기 집5 드래곤 슬롯에서 자주 확인된다.
청동기시대 중 · 후기의 송국리형 집자리에는 5 드래곤 슬롯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집자리 외곽에 설치된 야외 5 드래곤 슬롯에서 공동취사를 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5 드래곤 슬롯은 방형 또는 장방형 집자리의 중앙 축선 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었는데, 집자리의 크기가 커지면서 5 드래곤 슬롯의 수도 많아져, 많게는 8개의 5 드래곤 슬롯이 있는 경우도 있다. 신석기시대의 5 드래곤 슬롯이 집자리의 정중앙이나 입구 쪽에 설치된 반면, 청동기시대에는 입구의 반대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원삼국시대에는 이전 시기 5 드래곤 슬롯의 전통이 이어져 집자리 내부 안쪽으로 치우쳐서 바닥에 돌을 깔고 주위에 점토띠를 두른 노지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새로 부뚜막 형태의 5 드래곤 슬롯이 나타나 전국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부뚜막형 5 드래곤 슬롯의 평면형태와 구조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한강 유역의 여(呂)자 · 철(凸)자, 육각형주거지에서는 부뚜막에 점토와 돌로 만든 일(一)자 또는 벽을 따라 설치된 ‘ㄱ자’형의 쪽구들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주거지와 쪽구들은 북방 부여의 소산인 연해주 지역의 단결-끄로로노브카 문화의 영향으로 파악되고 있다.
부뚜막과 쪽구들은 이후 경기 · 호서 · 호남지역 등에서 백제 한성기(漢城期)의 장방형, 방형5 드래곤 슬롯지에도 채용되며, 일부 대형 5 드래곤 슬롯지를 중심으로 토제 아궁이테가 장식되기도 하였다. 한편 영남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 전기부터 원형5 드래곤 슬롯지에 벽을 따라 흙과 판석으로 만든 쪽구들이 나타나며, 원삼국시대 후기에는 방형 5 드래곤 슬롯지에서 3벽을 따라 평면 ‘ㄷ자’형, 곡선형 등의 쪽구들이 일반화되어 가야 전기에 이르기까지 계승된다.
5 드래곤 슬롯자리의 변화과정과 주거 및 취락과의 관계는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과 주거생활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신석기 · 청동기 · 원삼국시대 5 드래곤 슬롯자리의 구조 및 형태, 설치 위치 등의 제요소와 집자리 형태 및 출토 유물과의 대비를 통하여 시간적 · 지역적 문화유형과 문화변동 과정이 설명되기도 한다. 나아가 5 드래곤 슬롯자리를 단위로 한 집자리 내부의 공간 분석을 통하여 각 시대별 공동체의 가족 및 세대구성, 계층화 양상 등 사회구조를 복원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원삼국시대부터 나타나는 부석식 5 드래곤 슬롯과 부뚜막 · 쪽구들이 등장하면서 개별가족 단위의 취사와 난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취사와 난방을 겸한 우리나라 온돌문화의 시원이 되었던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