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 도키 슬롯 화지 ()

목차
출판
물품
일본에서 기원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전통 종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일본에서 기원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사용된 전통 종이.
내용

오키 도키 슬롯에 제지기술이 전래된 것은 610년 무렵인데,『오키 도키 슬롯서기(日本書紀)』에는, “18년 봄 삼월 고구려왕에게 승려 담징(曇徵)과 법정(法定)이 채색을 가한 종이와 먹, 아울러 연애(碾磑)와 연애의 뚜껑을 만들어 진상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종이와 먹, 맷돌의 원료 및 제조법에 관한 것들이 한반도에서 오키 도키 슬롯으로 전해졌고 오키 도키 슬롯이 일정한 수준의 제지술을 보유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

제지기술 전래된 이후 100년 정도가 지나서는 본격적으로 오키 도키 슬롯 내에서의 종이제작이 이루어졌다.『정창원문서(正倉院文書)』에 따르면 737년에 미마사카(美作)·이즈모(出雲)·하리마(播磨)·미노(美濃)·에쓰(越) 등지에서 종이뜨기가 시작되었다고 한다.『대보율령(大宝律令)』에 의해 국사(國史)나 각지의『풍토기(風土記)』를 편찬하기 위한 도서료(圖書僚)가 설치된 후 이곳에서 제지(製紙)와 종이 조달 또한 관장하였다. 또한 739년에는 사경사(寫經司)가 설치됨으로 인해 사경 사업을 위한 종이 수요가 확대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화지(和紙) 사용 기록은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선 전기 오키 도키 슬롯으로부터 수입해 온 왜저(倭楮: 오키 도키 슬롯의 닥나무)를 충청도 태안, 전라도 진도, 경상도 남해와 하동 등지에서 재배하였으며 그것을 재료로 한 왜지(倭紙)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또한 세종조 때에는 『강목통감(綱目通鑑)』을 왜지로 인출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오키 도키 슬롯의 종이, 즉 화지는 조선시대 때의 왜지, 혹은 왜저지(倭楮紙)와 같은 의미라 할 수 있다.

화지의 원료로는 닥나무나 삼지닥나무, 대마(大麻, Hemp)나 저마(苧麻, Ramie)가 이용된다. 이러한 나무껍질의 내피(內皮)를 물과 융합되도록 저은 뒤 섬유의 엉킴을 풀어주고 이후 부유하는 섬유를 발을 사용하여 건져내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섬유와 섞였던 물을 자유롭게 흘려보내는 흘림뜨기(외발뜨기)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그러나 오키 도키 슬롯에서는 섬유를 틀 안에 채워 수직 방향으로 물을 흘려보내는 가둠뜨기(쌍발뜨기)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차이를 보인다.

위와 같은 가둠뜨기 방식을 이용하면 소량의 재료로 매우 얇은 오키 도키 슬롯를 여러 번 뜰 수 있고 오키 도키 슬롯의 질(質)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공성(多孔性) 때문에 먹을 이용하여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것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반면 치밀하고 단단한 경도 때문에 펜글씨에는 적합하다.

참고문헌

『오키 도키 슬롯서기(日本書紀)』
『오키 도키 슬롯서지학용어사전(日本書誌學用語辭典)』
『日本の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오키 도키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