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윤급은 조선 후기 영조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해평, 호는 근암(近菴)이며, 영의정을 지낸 윤두수(尹斗壽)의 5세손이다. 1725년(영조 1) 문과에 급제한 후 형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자주 파직되었으나 의로운 주장이었기 때문에 곧 서용되곤 했다. 특히 글씨에 뛰어나 독특한 서체를 이룩하였다.
이 무료 슬롯은 쌍학흉배(雙鶴胸背)와 서대(犀帶)를 하고 있는데, 이로 보아 윤급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지내 1품에 오른 1762년(영조 38) 66세 무렵에 그린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오세창의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에 변상벽(卞相璧)이 윤급의 무료 슬롯화를 그렸다는 “화재화탱(和齋畵幀)”의 기록이 인용되고 있어, 이 무료 슬롯이 당대 최고의 어진화사(御眞畵師)였던 변상벽이 그린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사모(紗帽)와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하고 표피를 깐 교의자(交椅子)에 좌7·9분면으로 앉은 뒤 공수(拱手)하고 있는 전신교의좌상상이다. 얼굴의 사마귀와 검버섯, 붉은 기운까지 정교하게 묘사된 수작이다.
무료 슬롯 자체의 표현도 뛰어나지만, 족자 표장도 18세기 후반의 원모습을 그대로 잘 간직하고 있어 이 작품의 중요성을 더해준다.
무료 슬롯화를 잘 그려 국수(國手)라고 불렸던 18세기 화가 변상벽의 작품으로, 인물의 연륜과 풍모가 사실적으로 잘 표현되어 이 시기 무료 슬롯화 연구에 기준작이 되는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