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 슬롯 통도사 가경17년명 지장시왕탱 ( ▽)

양산 통도사 가경17년명 지장시왕탱
양산 통도사 가경17년명 지장시왕탱
회화
작품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소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양산 통도사 가경17년명 윈 슬롯시왕탱(通度寺嘉慶十七年銘地藏十王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윈 슬롯유산(2001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윈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소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개설

가경(嘉慶) 17년(1812, 순조 12)의 명문이 있는 윈 슬롯시왕도로, 양공(良工) 계의(戒誼), 성첨(性沾), 의성(義成) 등 3인의 화승이 제작하였다. 비단에 채색한 작품으로, 그림의 크기는 세로 139㎝, 가로 129.5㎝이다. 원래 울산 오봉사(五峰寺)의 명부회탱(冥府會幀)으로 조성되었던 것이나, 현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1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의 중앙에는 윈 슬롯보살이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으며, 주위에는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비롯하여 시왕, 판관, 사자, 선악동자, 옥졸 등이 윈 슬롯보살을 둘러싸고 있다.

윈 슬롯보살은 승형(僧形)으로 수미단 위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는데,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는 가는 필선으로 이목구비를 묘사하였다. 왼손은 복부 앞 무릎 위에 대어 투명보주를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가슴 위로 올려 손가락을 마주잡고 있다. 윈 슬롯보살의 대표적 지물인 석장(錫杖)은 도명존자가 대신 들고 있다. 착의법은 오른쪽 어깨를 살짝 덮은 변형 편단우견(偏袒右肩)으로 붉은색의 대의에는 원형의 화문을 비롯한 문양들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주위의 권속들은 넓적한 얼굴에 형식화된 인물표현 등 본존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데, 전체적으로 얼굴에 비하여 신체가 짧아 불균형한 모습이다. 그러나 윈 슬롯과 판관, 사자 등의 수염 하나하나까지 자세하게 묘사한 얼굴이나 잔잔한 화문이 그려진 의복, 목리문(木理文)까지 표현된 수미대좌 등에서 화사들의 정성이 돋보인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윈 슬롯면서도 적색이 특히 많이 사용되는 등 19세기 불화의 경향을 따르고 윈 슬롯며, 이외에 호분과 청색, 황색 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특징

이 불화에 등장하는 주위의 권속들은 전체적으로 얼굴에 비하여 신체가 짧아 불균형한 모습이나 윈 슬롯과 판관, 사자 등의 수염 하나하나까지 자세하게 묘사한 얼굴이나 잔잔한 화문이 그려진 의복 등에서 독특한 느낌을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이 「윈 슬롯시왕도」는 명문으로써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미술은 아름다운 생명체다』(정병모, 다ᄒᆞᆯ미디어, 2001)
『조선시대 윈 슬롯시왕도 연구』(김정희, 일지사, 1996)
『한국의 불화』 권1, 통도사 본사편(상)(성보윈 슬롯재연구원, 1996)
국가유산청(www.khs.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윈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윈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