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경(嘉慶) 17년(1812, 순조 12)의 명문이 있는 윈 슬롯시왕도로, 양공(良工) 계의(戒誼), 성첨(性沾), 의성(義成) 등 3인의 화승이 제작하였다. 비단에 채색한 작품으로, 그림의 크기는 세로 139㎝, 가로 129.5㎝이다. 원래 울산 오봉사(五峰寺)의 명부회탱(冥府會幀)으로 조성되었던 것이나, 현재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1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의 중앙에는 윈 슬롯보살이 결가부좌하고 앉아 있으며, 주위에는 도명존자(道明尊者)와 무독귀왕(無毒鬼王)을 비롯하여 시왕, 판관, 사자, 선악동자, 옥졸 등이 윈 슬롯보살을 둘러싸고 있다.
윈 슬롯보살은 승형(僧形)으로 수미단 위 연꽃대좌 위에 앉아 있는데,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에는 가는 필선으로 이목구비를 묘사하였다. 왼손은 복부 앞 무릎 위에 대어 투명보주를 들고 있으며 오른손은 가슴 위로 올려 손가락을 마주잡고 있다. 윈 슬롯보살의 대표적 지물인 석장(錫杖)은 도명존자가 대신 들고 있다. 착의법은 오른쪽 어깨를 살짝 덮은 변형 편단우견(偏袒右肩)으로 붉은색의 대의에는 원형의 화문을 비롯한 문양들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주위의 권속들은 넓적한 얼굴에 형식화된 인물표현 등 본존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데, 전체적으로 얼굴에 비하여 신체가 짧아 불균형한 모습이다. 그러나 윈 슬롯과 판관, 사자 등의 수염 하나하나까지 자세하게 묘사한 얼굴이나 잔잔한 화문이 그려진 의복, 목리문(木理文)까지 표현된 수미대좌 등에서 화사들의 정성이 돋보인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윈 슬롯면서도 적색이 특히 많이 사용되는 등 19세기 불화의 경향을 따르고 윈 슬롯며, 이외에 호분과 청색, 황색 등이 함께 사용되었다.
이 불화에 등장하는 주위의 권속들은 전체적으로 얼굴에 비하여 신체가 짧아 불균형한 모습이나 윈 슬롯과 판관, 사자 등의 수염 하나하나까지 자세하게 묘사한 얼굴이나 잔잔한 화문이 그려진 의복 등에서 독특한 느낌을 보여준다.
이 「윈 슬롯시왕도」는 명문으로써 조성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불화로서, 통도사에 남아 있는 다른 불화들과 더불어 조선 후기 불교회화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