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금동관음보살좌상은 1988년 선암사 천불전(千佛殿) 보수 때 상단 서까래 부분에서 1구가 발견슬롯 게임 꽁 머니 다음해 개금되었다. 보살상의 신체 표현, 화려한 영락장식, 대좌 형식 등에서 중국 원대 티베트불교 불상의 영향을 받은 14~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불(化佛)이 표현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당당한 어깨와 가는 허리를 가지고 슬롯 게임 꽁 머니. 머리에 쓴 커다란 삼산관(三山冠) 정면 중앙에 가슴에서 양손을 맞잡은 화불이 조각되어 슬롯 게임 꽁 머니. 보관 하단에는 두 줄의 연주문(連珠文)을 둘렀고, 반원형의 머리카락이 좌우대칭으로 표현되었다. 정수리 부분에는 머리카락을 세 갈래로 묶었으며, 머리 뒷부분은 가는 선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슬롯 게임 꽁 머니.
상호는 둥근 계란형으로, 가늘게 뜬 눈꼬리가 치켜 올라가고, 오뚝한 콧날과 살짝 미소를 머금은 작은 입을 가지고 슬롯 게임 꽁 머니.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고, 귀에는 연주문을 두른 커다란 둥근 귀걸이를 차고 슬롯 게임 꽁 머니. 목 바로 아래 세 줄로 이루어진 연주문 목걸이를 두르고, 그 밑으로 좌우대칭으로 양 가슴까지 길게 U자형의 영락 장식이 늘어져 슬롯 게임 꽁 머니. 이러한 연주문 장신구는 팔목, 팔꿈치, 발목에 걸쳐서 화려함을 나타내고 슬롯 게임 꽁 머니.
벗은 상반신의 양쪽 어깨에 천의를 걸쳐 팔 뒤쪽으로 날리고, 등 뒤에는 두꺼운 천의 자락이 늘어져 있으며, 하반신에 치마를 입고 슬롯 게임 꽁 머니. 하반신을 덮은 치맛자락은 자연스럽게 무릎에 늘어져 있지만, 결가부좌한 다리 앞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치맛자락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제작 시기에 대한 단서를 알려주고 슬롯 게임 꽁 머니. 수인은 왼손을 가슴 앞에 대고, 오른손을 우측 무릎 위에 살며시 내려놓아 아미타구품인 가운데 하품하생인(下品下生印)을 취하였다.
대좌는 앙복련(仰伏蓮)이 중대 없이 바로 연결된 연접 형식이다. 대좌의 상 · 하단에는 19엽의 단판연화문이 장식되었고, 상 · 하단의 연화문 외곽에 연주문을 둘렀다. 이러한 앙복련의 연접형 대좌는 중국 원대 이후에 제작된 여래상과 보살상의 대좌에서 흔히 볼 수 슬롯 게임 꽁 머니.
고려 후기에 발달했던 티베트불교적 요소가 이 금동보살상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14~15세기의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