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림사 사천왕상의 복장유물로,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 유형꽁 머니 슬롯재(현, 유형꽁 머니 슬롯유산)로 지정되었다.
금사사판의 전체 크기는 29.3×17.5㎝, 반곽의 크기는 19.5×12.8㎝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꽁 머니 슬롯. 원암사판의 전체 크기는 26.7×16.2㎝, 반곽의 크기는 19.6×13㎝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꽁 머니 슬롯.
선종개판의 전체 크기는 26.5×17.2㎝, 반곽의 크기는 19.3×13㎝이며, 반엽 8행 17자, 무계꽁 머니 슬롯.
화암사판의 전체 크기는 27×16㎝, 반곽의 크기는 19×12.8㎝이며, 사주단선, 반엽 8행 17자, 무계꽁 머니 슬롯.
증심사판의 전체 크기는 23.7×16.4㎝, 반곽의 크기는 19.5×12.5㎝이며, 사주단선, 반엽 8행 17자, 무계꽁 머니 슬롯.
『육경합부』는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던 『금강반야바라밀경』 ·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 『대불정수능엄신주』 · 『불설아미타경』 · 『관세음보살예문』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 등 여섯 가지 경전을 모아 한 책으로 꽁 머니 슬롯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꽁 머니 슬롯된 최고본은 1424년(세종 6)에 전라도 완주의 안심사(安心寺)에서 개판되었으며, 이밖에도 현재까지 알려진 판본은 20여종 이상이다. 이들 판본의 대부분이 임진왜란 이전인 15세기에 집중적으로 꽁 머니 슬롯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본은 모두 7종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꽁 머니 슬롯연도가 확실한 것은 1499년(세종 31) 금사사판, 1457년(세조 3) 원암사판, 1449년(세종 31) 선종개판 2책, 1488(성종 19) 화암사판, 1449년(성종 20) 증심사판 등 5종 6책으로, 이 역시 대부분 15세기 판본으로 밝혀졌다.
이들 판본은 모두 조선시대에 판각된 것으로, 꽁 머니 슬롯연도가 확실하고 현재까지 매우 희귀하게 전래되고 있어 국가유산의 가치가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