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지인 지산동은 ‘원앞’과 ‘삽제(揷提)’ 두 마을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마을이다. ‘위쳐 3 슬롯 모드’은 지산동 앞의 대단히 넓고 기름진 들판으로, 일명 ‘발검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옛날 후삼국시대에 견훤(甄萱)의 아들 신검(神劍)의 군대가 고려를 침공할 당시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지산동 앞들에서 신검을 사로잡아 항복을 받았다고 하여 벌검평야(伐劍平野), 즉 ‘위쳐 3 슬롯 모드(발검들)’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이 농요는 일명 「농사짓기위쳐 3 슬롯 모드」라고도 한다. 1999년 4월 15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어, 고아읍 문성리 거주 백남진이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위쳐 3 슬롯 모드는 모두 10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로부터 구미지역에 전하여오는 「영남아리랑」을 필두로 농군들이 나무할 때나 풀 벨 때 부르던 「어사용」 · 「가래질위쳐 3 슬롯 모드」 · 「망깨위쳐 3 슬롯 모드」 · 「목도위쳐 3 슬롯 모드」 등의 잡역노동요, 농사일을 할 때 부르던 「모찌기위쳐 3 슬롯 모드」 · 「모심기위쳐 3 슬롯 모드」 · 「논매기위쳐 3 슬롯 모드」 · 「타작위쳐 3 슬롯 모드」 등의 농업노동요, 세벌 논매기를 마치고 상머슴을 깽이말(걸채)에 태워서 마을로 흥겹게 돌아올 때에 부르던 「치나칭칭나네」가 전부이다.
「영남아리랑」은 1980년대에 조사 · 발굴된 노래로 예로부터 선산 · 위쳐 3 슬롯 모드지역에 전해오는 아리랑인데, 강원도의 「정선아리랑」과 유사한 선율 형태의 곡이라는 점에서 맥락을 같이한다. 장단은 엇모리로, 느린 중모리장단의 「한오백년」 및 엮음 형태의 「정선아리랑」과 대조를 이룬다. 한 장단의 넷째마디 음(미)은 장식음을 넣어 가락에 변화를 두는 경우와 한 음으로 지속하는 경우가 있다.
기본 음률은 4·4조로 가사는 다음과 같다. “세월 무정 잘도 흘러 논매기가 닥쳤구나/ 좌우 청산 돌아보니 우리 일꾼 다 모였네/ 만경 벌판 위쳐 3 슬롯 모드을 어느 누가 맡을손가/ 우리 모두 한잔 먹고 호미 들어 시작하세/ 한 가락에 한 호미씩 떠놓고서 돌아보니/ 폭 넓고 새래 긴 논 이럭저럭 줄어가네/ 들머리는 멀어가고 날머리는 다가온다.”
구미 지산동은 약 120가구, 500여명의 주민으로 이루어진 각성촌락(各姓村落)으로 예로부터 공동농경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공동작업에서 불렀던 들위쳐 3 슬롯 모드들을 모아 엮어서 전승하고 있다. 현재는 지산동을 중심으로 들판 주변의 괴평리와 문성리 일대의 농민들까지 합세하여 민요 보존에 힘쓰고 있다. 지산동 마을 사람들은 들 앞에 이 노래의 유래비(由來碑)를 세우고 구미발갱이들위쳐 3 슬롯 모드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수 · 전승에 노력하고 있다. 초대회장은 김성수(金聖洙)이고, 현회장은 이승원이다.
이 들위쳐 3 슬롯 모드는 1991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우수상을 받은 바 있어, 전국적으로 이름을 전하고 있다. ‘발갱이들’은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여 민족재통일의 위업을 달성한 역사적 성지로 일컫는 곳으로, 전통 있는 농요가 이 고장에 전해오는 사실 또한 계속 이어져야 할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