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전탁음 ()

목차
관련 정보
문자
개념
중국의 등운학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음을 가리키는 언어학용어. 전탁(全濁).
이칭
이칭
전탁(全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의 등운학에서 현대 언어학에서의 유성장애음을 가리키는 언어학용어. 전탁(全濁).
개설

던파 온 슬롯 주1의 일반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탁(全濁)은 주2의 36자모(字母) 중 竝[pɦ] · 奉[fɦ] · 定[tɦ] · 澄[ʈɦ] · 群[kɦ] · 從[tsɦ] · 邪[sɦ] · 牀[ʂɦ∼tʂɦ] · 審[ʂɦ] · 匣[xɦ]을 포함한다. 이들은 후기 중고 던파 온 슬롯어에서는 무성음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전기 중고던파 온 슬롯어에서는 유성장애음이었던 자음들을 포괄하고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전탁음을 각자병서로 표기하고 있다.

내용

고대 던파 온 슬롯의 발음을 기술하는 용어로서의 청탁(淸濁)은 당대(唐代) 이전 여러 가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던파 온 슬롯의 등운학에서 일컬어지는 것과 같은 유성-무성음의 대립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처음 사용된 것은 당말(唐末)의 승려 수온(守溫)의 저작으로 알려진 돈황문서 『수온운학잔권(守溫韻學殘卷)』에서이다.

던파 온 슬롯 학자 위민〔兪敏〕의 「등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감〔等韻溯源〕」에서는 이러한 청탁의 정의가 인도의 성명학(聲明學)에서 자음을 기술하는 용어인 śvāsah · aghosah(높음), nadah · ghosah(낮음)에서 기원하였다고 보았다. 이것이 분명하다면 탁(濁)은 nadah · ghosah에 해당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등운도(等韻圖)인 『운경』에는 차탁(次濁)이란 개념은 있으나, 아직 전탁이란 개념은 보이지 않는다. 이 시기에는 차탁(공명자음)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탁(濁)만이 사용되었다. 전탁이란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원대(元代)의 등운도인 『사성등자(四聲等子)』로서, 이 또한 위민에 의하면 인도 성명학의 ‘비성(比聲)’ 다섯 행 중 Prathama(첫 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던파 온 슬롯에서는 1446년 『훈민정음』 반포 후, 각자병서로 적은 자음들을 전탁이라고 불렀으며,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ㄲ · ㄸ · ㅃ · ㅉ · ㅆ · ᅘ이 전탁에 속하는 것이었다. 강신항의 『훈민정음연구』에서는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의 기술에 의거, 같은 책에서 거론한 전탁이란 던파 온 슬롯어의 된소리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에 의거한다면 전탁으로 일컬어진 『훈민정음』의 각자병서 자모는 던파 온 슬롯어의 된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동국정운』과 같이 규범적인 한자음을 적거나 『홍무정운역훈』과 같이 던파 온 슬롯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는 등운학에서의 전탁을 적기 위해 사용되므로 한국어를 표기할 때의 용법과는 차이가 있다. 단, 당시의 북방 던파 온 슬롯어에서는 이미 전탁에 해당되는 자음이 무성음화되어 소실되었으므로 그러한 각자병서의 표기는 등운학에 기초한 이상적인 독음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강신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韻鏡通釋』(陳廣忠, 上海辭書出版社, 2003)
『古漢語知識詳解辭典』(馬文熙·張歸璧 外, 中華書局, 1996)
「等韻溯源」(兪敏,『兪敏語言學論文集』, 中華書局, 1995)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E.G. Pulleyblank,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84)
주석
주1

시대에 따라 분류한 던파 온 슬롯 음운학의 한 갈래. 흔히, 당나라 중엽 이후부터 송나라ㆍ원나라ㆍ명나라ㆍ청나라 때까지의 음운학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10세기 무렵에 만들어진 던파 온 슬롯 한문자의 음운을 그림표로 나타낸 책. 절운(切韻) 계통의 운서에 표시되는 음운 체계를 43장의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성질이 같은 두자음(頭子音)은 세로로, 사성(四聲)의 네모 테 및 모음과 말미 자음이 같은 것은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발음법, 청탁, 사성, 칠음 따위를 나타내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던파 온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던파 온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