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던파 온 슬롯의 발음을 기술하는 용어로서의 청탁(淸濁)은 당대(唐代) 이전 여러 가지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던파 온 슬롯의 등운학에서 일컬어지는 것과 같은 유성-무성음의 대립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처음 사용된 것은 당말(唐末)의 승려 수온(守溫)의 저작으로 알려진 돈황문서 『수온운학잔권(守溫韻學殘卷)』에서이다.
던파 온 슬롯 학자 위민〔兪敏〕의 「등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감〔等韻溯源〕」에서는 이러한 청탁의 정의가 인도의 성명학(聲明學)에서 자음을 기술하는 용어인 śvāsah · aghosah(높음), nadah · ghosah(낮음)에서 기원하였다고 보았다. 이것이 분명하다면 탁(濁)은 nadah · ghosah에 해당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등운도(等韻圖)인 『운경』에는 차탁(次濁)이란 개념은 있으나, 아직 전탁이란 개념은 보이지 않는다. 이 시기에는 차탁(공명자음)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탁(濁)만이 사용되었다. 전탁이란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원대(元代)의 등운도인 『사성등자(四聲等子)』로서, 이 또한 위민에 의하면 인도 성명학의 ‘비성(比聲)’ 다섯 행 중 Prathama(첫 번째 글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던파 온 슬롯에서는 1446년 『훈민정음』 반포 후, 각자병서로 적은 자음들을 전탁이라고 불렀으며,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ㄲ · ㄸ · ㅃ · ㅉ · ㅆ · ᅘ이 전탁에 속하는 것이었다. 강신항의 『훈민정음연구』에서는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의 기술에 의거, 같은 책에서 거론한 전탁이란 던파 온 슬롯어의 된소리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에 의거한다면 전탁으로 일컬어진 『훈민정음』의 각자병서 자모는 던파 온 슬롯어의 된소리를 적기 위해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동국정운』과 같이 규범적인 한자음을 적거나 『홍무정운역훈』과 같이 던파 온 슬롯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는 등운학에서의 전탁을 적기 위해 사용되므로 한국어를 표기할 때의 용법과는 차이가 있다. 단, 당시의 북방 던파 온 슬롯어에서는 이미 전탁에 해당되는 자음이 무성음화되어 소실되었으므로 그러한 각자병서의 표기는 등운학에 기초한 이상적인 독음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