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돈 따는 법 어제경세문답속록 ()

유교
문헌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경세문답』의 속편으로 1763년에 저술한 어제(御製). 자성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제21대 왕 영조가 『어제경세문답』의 속편으로 1763년에 저술한 어제(御製). 자성록.
개설

1761년(영조 37)에 작성된『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의 속편으로 영조가 70세가 되는 1762년에 자기 자신과 세상 사람들이 경계하고 권면해야 할 덕목들을 문답형식으로 서술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69세 때 지었던『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의 내용을 보충하여 70세(1762)가 되던 해에 속편을 지은 후, 영조가 이듬해 5월 교서관에 명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서. 1763년 교서관에서 목판본 1책(61장)으로 간행하였다. 책의 크기는 33×22.2㎝이고, 반엽광곽(半葉匡郭)의 크기는 24×16.5㎝이다.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고, 계선이 있으며, 글자는 8행 15자이다. 판심은 상하화문어미(上下花紋魚尾)이고, 소장인은 ‘제실도서지장(帝室圖書之章)’이다.

내용

전편인 『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의 체제는 별도의 서문이나 발문 없이 본문만으로 구성되었으며, 본문은 문답식, 즉 ‘문왈(問曰), 답왈(答曰)’의 형식으로 매 주제에 대하여 기술되었다.

본문의 첫머리에는, “말세의 풍속을 부끄러워하고 개탄하여 글을 짓게 되었다.”고 하였으며,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실록의 관련 기록에는, ‘스스로를 경계하면서 세상을 경계하는 뜻을 취하였다.’고 설명되어 있다. 내용은 『중용』과 『대학』을 토대로 수신·제가·치국의 도를 말하고, 기타 경사(經史)를 인용하여 자신의 생활관이나 통치관을 기술하였다.

『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은 교서관에서 목판으로 인쇄되었고, 속편인『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속록』은 전편의 체제를 따라 서문이나 발문이 없고, 본문 역시 ‘문왈~, 답왈~’의 문답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문왈’에 해당하는 부분은 영조 자신이 가설한 자문자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문답의 주제는 총 31개이며, 여기에는 자식된 도리, 『중용』을 통해 깨달은 점, 법강(法講)의 복식 문제, 『심잠(心箴)』이나 『논어(論語)』·『주례(周禮)』 등의 문장, 통치자의 도리에 관한 것 등 다양하다. 특히 전편에서 강개(慷慨)한 이유를 자문한 후에, 이에 대하여 “전편은 후세 사람을 면려하기 위한 것이었고, 속편은 스스로 면려함을 보이는 뜻”이라고 자답함으로써 이 편이 전편인『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과 상호보완의 관계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 편은 영조의 노년기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서에서 자주 보이는 자성적이면서도 경세적인 성격이 강한 글로써, 자기반성을 통해 후대인을 면려하려는 의도가 잘 드러나 있다.

의의와 평가

영조가 지은 여러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서는 영조 당대에 금속활자, 목활자, 목판으로 인쇄되었다. 또한 이 가운데 일부는 반사되거나 번각되어 조정의 신하에게 하사되기도 하고 강학의 자료가 되기도 하였다.

『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속록』은 이러한 성격의 글로써 영조의 통치철학과 제왕학, 나아가 삶과 문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슬롯 머신 돈 따는 법실록(英祖實錄)』
『슬롯 머신 돈 따는 법경세문답(御製警世問答)』
『영조슬롯 머신 돈 따는 법훈서(英祖御製訓書)』
「영조슬롯 머신 돈 따는 법첩에 나타난 영조노년의 정신세계와 대응」(노혜경,『장서각』제16집, 2006)
「영조슬롯 머신 돈 따는 법첩의 체제와 특성」(김상환,『장서각』제16집,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