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매니아 신속열녀도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문신 유근이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열녀도」를 편집하여 엮은 교훈서. 윤리서 · 열전.
• 본 항목의 슬롯 매니아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문신 유근이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열녀도」를 편집하여 엮은 교훈서. 윤리서 · 열전.
편찬/발간 경위

유근(柳根, 1549~1627)이 광해군 때 편찬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슬롯 매니아도」의 일부분인 22편을 떼어내어 한 책으로 엮었는데, 이를 만든 경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서지적 사항

1책(22장‚ 零本). 목판본. 책크기는 36.3×25.7㎝이고, 반엽(半葉)의 광곽(匡郭)크기는 26.6×20.2㎝이다. 변란(邊欄)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고, 계선이 있으며,[有界] 본문의 행자수는 16행 26자이다. 판심(版心)은 상하내향화문어미(上下內向花紋魚尾)이다. 인물에 대한 그림[圖]이 있고, 훼손이 심한 편이다.

내용

절개를 지켰거나 부행(婦行)이 뛰어난 슬롯 매니아들의 행적을 그림과 글로 나타낸 책으로, 서문이 없이 곧바로 본문이 시작되어 본서의 간행경위나 연대는 전혀 알 수 없다.

총 22명의 행적을 싣고 있는데‚ ‘강씨익사(姜氏溺死)’ 등과 같은 네 글자로 된 제목 하에 한 면에는 그림을 그리고, 다른 면에는 슬롯 매니아로 칭송받게 된 사유를 서술하고 있다. 서술 부분은 한문으로 먼저 내용을 기술하고 그것을 한글로 번역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총 22명 중 17인에 대한 내용은 왜적의 침입시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음으로 맞선 슬롯 매니아들의 행적이다. 그 방법은 익사(溺死: 投水)‚ 추애(墜崖: 墜岩‚ 投崖)‚ 인사(刃死)‚ 패도(佩刀)‚ 결항(結項)‚ 지해(肢解)‚ 단두(斷頭)‚ 촌참(寸斬:見斬‚ 見殺) 등 다양하다. 나머지 5인은 아버지나 남편이 병들었을 때 극진히 봉양하거나‚ 집에 불이 났을 때 불 속으로 뛰어들어가 남편의 신주를 모시고 나오는 등의 행동을 보인 사람‚ 부행을 잘 지킨 사람의 행적을 단지(斷指)‚ 투화(投火)‚ 절행(節行)‚ 투정(投井) 등의 제목 하에 기술하고 있다.

서술 부분의 특징은 각 인물의 출신과 누구의 처라든가 자녀라고 하는 관계를 분명하게 서술해 놓고 슬롯 매니아로 뽑히게 된 사유도 구체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는 점이라 하겠다.

의의와 평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권5 「슬롯 매니아도」에 실린 일부분을 그대로 복제하여 한 책으로 만들었다. 사람마다 1장의 도화(圖畵)가 있고 한문 다음에 국문을 붙였다. 계급·성별의 차별 없이 충·효·열 삼강(三綱)의 윤리에 뛰어난 인물을 수록한 점이 특색이다.

참고문헌

「『전국지리지』를 통해 본 조선시대 충,효,열 윤리의 확산 양상」(이정주, 『한국사상사학』, 한국사상사학회, 2007)
「「슬롯 매니아전」과 「슬롯 매니아도」의 이미지 연구」(신수경, 『미술사논단』, 한국미술연구소, 2005)
「광해군대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편찬의 의의」(이광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동국신속삼강행실도』「슬롯 매니아도」의 분석 (박주, 『여성문제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2)
• 항목 슬롯 매니아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슬롯 매니아,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슬롯 매니아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