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요초(訓夢要鈔)』는 1책으로 된 목판본플레이 텍 슬롯.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의 표지 서명은 ‘경계문(警戒文)’플레이 텍 슬롯. 이 책은 「경계문」, 「훈몽요초」, 「불설금사론(佛說金沙論)」, 「벽송당야로행장(碧松堂埜老行狀)」, 「벽송당야로집(碧松堂埜老集)」이 합철되어 있다. 앞의 셋은 주4(張次)가 이어져 있지만 한 번에 판각하여 찍어낸 것으로 보기 어렵다. 광곽(匡郭)의 크기도 각기 조금씩 차이가 있고, 자형, 행과 자수뿐만 아니라 경계선의 여부에도 차이도 있다. 「플레이 텍 슬롯」는 앞부분이 주1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계문」의 장차가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본래 따로 새겨진 것을 주2를 맞추어 합철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뒤에 합철된 「벽송당야로행장」과 「벽송당야로집」은 장차가 앞의 것들과 따로 매겨졌을 뿐 아니라 판식이 다르므로, 별도로 새겨진 것플레이 텍 슬롯.
『플레이 텍 슬롯』의 판본은 1572년 전라남도 담양의 용천사본(13행 23자본), 1574년 충청남도 남포 내원사(內院寺) 개판본(9행 17자본), 1576년 오대산 월정사 유판본(8행 16자본), 1618년 순천 송광사 개간본(9행 18자본) 등이 현존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플레이 텍 슬롯학연구원 소장본은 8행 16자본의 1576년 월정사본으로 추정된다.
이 책의 끝부분에 의하면 “벽송 선사(碧松禪師)가 몽학(蒙學)을 가르칠 때 반드시 먼저 이것으로 인도하여 등급을 넘지 않게 하였다. 이제 선사를 사모하여 판각한다.”라고 하였다. 주5의 요의(了義)와 기타 주요한 법수(法數: 六識 · 八識 · 十使 · 六度 등)를 가리어 불교 초학자에게 인도한 것플레이 텍 슬롯.
플레이 텍 슬롯을 보면, “처음은 일심으로 본원(本源)을 삼고, 일심에 의하여 이문(二門)을 여니 심진여문(心眞如門)과 심생멸문(心生滅門)이며, 이 식(識)에 의하여 이의(二義)가 있으니 각의(覺義)와 불각의(不覺義)이다. 불각의에 의하여 삼세(三細)를 내니 업상(業相) · 전상(轉相) · 현상(現相)이다. 최후의 뜻에 의하여 육추(六麁)를 내니 지상(智相) · 상속상(相續相) · 집취상(執取相) · 계명상(計名相) · 기업상(起業相) · 업계상(業繫相)이다.”고 적혀 있다.
이어서 기신론(起信論)의 교리를 열거하고, 다음에 법과 의(義)로 나누어 기신론의 요의를 요약하였다. 이어 육추(六麤)의 업으로 인하여 중생의 사대색신(四大色身)과 밖으로 산하대지(山河大地)의 세계가 전개되는 것과, 안으로 육근(六根)과 육식(六識), 밖으로 육진(六塵) · 팔식(八識) · 사지(四智) · 팔풍(八風) · 십사(十使) · 육도(六度) · 삼계구지(三界九地) · 십이인연(十二因緣) 등의 법수를 열거하여 교의 개요를 제시하였다. 다시 사교(四敎) · 오교(五敎)의 핵심을 제시한 다음, 주6의 삼구(三句)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플레이 텍 슬롯은 마음을 닦는 공부를 위해서 교의의 주7을 먼저 알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