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황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예조참판, 대사헌, 지제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명(景明)
식암(息庵), 돈암(遯庵)
시호
정익(貞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4년(중종 39)
사망 연도
1616년(광해군 8)
본관
창원(昌原)
출생지
서울
주요 관직
도승지|예조참판|대사헌|지제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드래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예조참판, 대사헌, 지제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서울 출생. 황희성(黃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찬성 황사우(黃士祐)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응규(黃應奎)이며, 어머니는 의빈도사(儀賓都事) 이수려(李壽旅)의 딸이다. 정탁(鄭琢)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64년(명종 19) 성균관유생이 되고, 1570년(선조 3) 식년 문과에 급제, 한성부참군·해운판관·황해도사·호조좌랑 5 드래곤 슬롯 거쳐 1577년 서천군수가 되었다. 이 때 선정을 베풀어 송덕비가 세워졌다. 정언을 거쳐, 사간·집의·도승지 5 드래곤 슬롯 역임하고 성주목사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병조참지로서 대가(大駕)를 호종(扈從)5 드래곤 슬롯, 평안도모운사(平安道募運使)에 선임되어 군량 수운에 공을 세웠다. 이듬해 호조참의로서 대가를 따라 해주에 이르러 모군(募軍)과 식량공급 등 당면 국방정책을 건의하였다.

1594년 안동부사가 되고, 뒤에 다시 이조와 호조의 참의, 도승지 5 드래곤 슬롯 역임하였으며, 호조·이조·예조의 참판을 거쳐, 대사헌·지제교 5 드래곤 슬롯 지냈다.

광해군 즉위 후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면서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714년 풍기 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식암집』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성호문집(星湖文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식암집(息庵集)』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5 드래곤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5 드래곤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