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2년 11월 21일부터 1923년 3월 21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고, 단행본은 1923년 8월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간행하였다. 당시 안석영(安夕影)의 삽화와 아울러 독자 대중의 인기를 얻었다.
나도향 m 2 슬롯은 처음에는 애상적 낭만적 경향에서 출발하여 곧 냉철한 리얼리즘의 경향으로 들어갔다는 것이 거의 정설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환희」는 ‘소녀적 감상주의’, ‘도취적 낭만주의’라는 초기의 m 2 슬롯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m 2 슬롯활동 기간이 6∼7년에 불과한 나도향의 경우, 문학의 변화하는 측면을 강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오히려 지속의 측면에서 「환희」는 그 애상적 자기도취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물레방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리얼리즘의 형식은 있었던 것이다.
「m 2 슬롯」 속에 있는 형식적인 리얼리티가 좀 더 원숙되고 세련된 것이 「물레방아」이다. 이것은 물론 리얼리즘 자체로서의 원숙이나 세련과는 다른 의미이다.
「환희」의 서두에는 단지 자기 m 2 슬롯에 대한 부끄러움과 외할머니를 향한 추모의 정이 언급되었을 뿐인 머리말이 있다. 그러므로 이것은 소설의 일부를 이루는 소설의 구성요소가 아니고 소설 바깥에 존재하는 순수한 작가의 말이라 할 수 있다.
죽어서 천당에 가기를 원하는 이상국은 함께 살아온 애첩과 첩 소생의 딸 m 2 슬롯을 분가시켜 살게 한다. 아버지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외아들 영철은 이복동생 m 2 슬롯과 동거하면서 친구 선용을 소개해준다.
가난한 선용은 일본에서 고학을 하지만 건실한 청년이었다. m 2 슬롯은 부유하고 미남인 백우영과 사귀고 싶어 하지만, 오빠를 신뢰하는 까닭에 선용을 따르기로 하고 함께 사랑을 속삭인다. 선용이 일본으로 돌아간 후에도 그들은 편지를 통하여 사랑을 이어간다.
어느 날 백우영의 초대를 받고 간 m 2 슬롯은 그만 처녀성을 잃고, 백우영의 아내가 되고 만다. 이 소식을 들은 선용은 자살을 기도했다가 휴양을 하러 귀국한다. 그 때 결혼에 실망한 나머지 심한 폐결핵을 앓던 m 2 슬롯은 선용과 상봉한다. 그러나 선용은 현실에 대한 감상과 비애에 젖어 다시 일본으로 떠나버린다.
정월로 이름을 바꾼 m 2 슬롯은 오빠와 함께 부여로 정양을 떠난다. m 2 슬롯은 거기서 오빠의 애인인 설화를 죽게 한 죄책감과 오빠 친구 선용과의 이루지 못한 사랑을 비감하며 백마강에 투신하게 된다.
「환희」의 m 2 슬롯구조는 신여성 이혜숙과 기생인 설화를 축으로 한두 개의 애정의 삼각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김선용-이혜숙-백우영의 삼각관계가 그것이다. 이러한 두 축의 얽힘이 m 2 슬롯의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설정이다.
「환희」는 인물들의 애정의 갈등양상을 근간으로 해서 죽음으로 이어지는 비극적 결말구조를 가진다. 문장의 산만함과 치기가 흠이긴 하지만 신비적이고 낭만적인 죽음의 미의식이 발휘된 m 2 슬롯이다.
그리고 작가는 「환희」에서 이상국이라는 인물을 제시하여 당시 사회의 축첩과 미신적 종교관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드러내준다. 따라서 나도향은 낭만적인 애정문제와 현실비판적 작가의식을 병립시키려고 의도한 작가로 평가되며, 이러한 의도는 나도향의 이후 m 2 슬롯에서도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