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판본. 책 끝에 최명길(崔鳴吉)의 발문이 실려 있으며, 책 후반부에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가 합철되어 티 카페 슬롯. 1685년(숙종 11)에 황해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목판본이 장서각 도서 티 카페 슬롯.
책의 티 카페 슬롯은 먼저 제반 총통(銃筒)의 일반적인 용약법(用藥法)을 기술한 다음 천자총통(天字銃筒)·지자총통(地字銃筒)·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대완구(大碗口)·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小小碗口)·진천뢰(震天雷)·비진천뢰(飛震天雷)·철신포(鐵信砲)·불랑기(佛狼機, 1∼5호)·벽력포(霹靂砲)·호준포(虎蹲砲)·중백자총(中百子銃)·소백자총(小百子銃)·승자총통(勝字銃筒)·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소승자총통(小勝字銃筒)·삼안총(三眼銃)·질려포(蒺藜砲)·대통(大筒)·중통(中筒)·소통(小筒)·중신기화차(中神機火車)·화차(火車)·우자총통(宇字銃筒)·주자총통(宙字銃筒)·홍자총통(洪字銃筒)·황자총통(黃字銃筒)·일자총통(日字銃筒)·월자총통(月字銃筒)·영자총통(盈字銃筒)·측자총통(昃字銃筒)·대발화(大發火)·중발화(中發火)·중신기통(中神機筒)·주화통(走火筒)·지화(地火)·석류화전(石硫火箭)·명화(明火) 등 각종 화약병기의 용약법과 발사물을 수록하고 있다.
이 책에 비록 조총류(鳥銃類)가 수록되어 있지 않고, 또한 사거리(射距離)를 밝히지 않은 아쉬움이 있기는 하지만 당시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와 용약법 등을 연구하는 데에는 중요한 티 카페 슬롯로 쓰인다.
후반부의 『신전자취염초방언해』는 임진왜란 이후 새로 습득한 화약제조법의 티 카페 슬롯과 숙종 연간에 이루어진 김지남(金指南)의 『신전자초방』과의 상관관계를 밝혀주는 중요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17세기의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특히 이본(異本)들의 비교를 통하여 표기법의 변천 및 음운의 변천을 연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