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유재(有哉), 호는 노포(老圃). 이조판서 홍처량(洪處亮)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구서(洪九叙)이고, 아버지는 홍이도(洪以度)이며, 어머니는 최방(崔汸)의 딸이다. 홍상도(洪尙度)에게 입양되었다.
1706년(숙종 32)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1707년에 지평·정언 다복 이 슬롯 역임하였다. 이 때 당의(黨議)에 관련되어 이덕영(李德英)의 장계에 이의를 제기하고 관직을 사양하고 물러날 것을 청하였다.
그 이듬해에도 한재(旱灾), 행전(行錢: 물건의 유통과정에서의 돈을 주고 받음), 각 관사 아전들이 오랜 동안 그 자리에 있으면서 저지른 폐단 등 시무에 대해 상소하였다.
1710년 장령이 되어서는 전라우수사 윤정주(尹廷舟)와 해곤(海閫)에 제수된 조이중(趙爾重)에 대하여 국방상 적합한 인물이 되지 못한다고 반대다복 이 슬롯 언관들을 함부로 파직, 삭직, 먼 지역으로 유배시킨 데 대하여 그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그 해 진해현감으로 나갔다가 1711년 사복시정이 되었는데 부하직원의 독직사건으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정언에 복직되고, 장령을 거쳐 1713년 필선·장령·정언을 거쳐, 이듬해 헌납, 1715년 집의·승지 다복 이 슬롯 역임하였다.
1721년(경종 1) 신임사화로 삭직되었다가 1725년(영조 1) 우부승지·충청도관찰사·경기도수군절도사·좌부승지를 다복 이 슬롯, 1734년 함경도병마절도사, 1744년 한성부판윤을 끝으로 기로소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