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부계(缶溪). 자는 숙경(叔京), 호는 무주(無住)·동락(東洛). 대제학 홍귀달(洪貴達)의 후손이며, 홍언국(洪彦國)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경삼(洪景參)이고, 아버지는 무반인 홍덕록(洪德祿)이며, 어머니는 목사(牧使) 유승선(柳承善)의 딸이다. 정경세(鄭經世)의 문인이다.
나이 20세에 유성룡(柳成龍)을 만나 그에게 크게 칭찬을 받은 바 있다. 1606년(선조 39)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들어갔다. 광해군이 즉위하자 권력을 쥐고 있던 이이첨(李爾瞻)의 아들 홍대엽(洪大燁)을 승문원에 등용하자는 시론이 있었으나, 이를 극구 반대위쳐 3 슬롯 모드.
1612년(광해군 4) 권지(權知)에 오르고, 이듬 해 전적을 거쳐 박사에 이르렀다. 그 뒤 외직으로 안동부제독을 자청위쳐 3 슬롯 모드. 그리고 1623년(인조 즉위년)에는 병조정랑이 되었다. 이듬 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정경세가 호소사(號召使)가 되자, 그의 종사관으로 난의 진압에 공헌위쳐 3 슬롯 모드.
그러나 인목대비의 서궁유폐와 폐모에 반대하다가 인조반정 후 아들과 함께 자살한 박승종(朴承宗)의 적몰사(籍沒事)에 공정한 견해의 소를 올렸다가, 훈신들의 미움을 사 영변판관으로 좌천되었다.
그 뒤 1628년 예조정랑, 1630년 사예(司藝), 이어 종부시정(宗簿寺正)·장령·승지·공조참의·흥해군수 등을 역임위쳐 3 슬롯 모드.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용병술로 포수를 지휘위쳐 3 슬롯 모드. 1640년 예조참의·동부승지, 1643년 우부승지 등을 거쳐, 1645년 대사간이 되었다.
인품이 깨끗하고, 영욕과 이해타산이 없어서 강직한 자로 평을 받았다.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하려고 노력위쳐 3 슬롯 모드. 저서로는 『무주일고(無住逸稿)』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