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크레이지 슬롯에는 급제자의 이름과 급제의 구분(乙科·丙科·同進士·恩賜·明經業 등)·연대·시관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기록에 의하면 1102년(숙종 7) 을과급제자에게 크레이지 슬롯와 안마(鞍馬)를 주었다고 하는 것이 고려시대 최초의 예이고, 1205년(희종 1)에 급제한 장양수(張良守)의 크레이지 슬롯가 있으며, 1305년(충렬왕 31)에 급제한 장계(張桂)의 크레이지 슬롯가 196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4세기의 것으로는 1355년(공민왕 4) 동진사에 급제한 양이명(楊以明)의 크레이지 슬롯와 1376년(우왕 2) 을과 제2인으로 급제한 양수생(楊首生)의 크레이지 슬롯가 있으며, 1330년(충숙왕 17)에 급제한 이자수(李自脩)의 잡과크레이지 슬롯가 있다. 이러한 것들은 고려시대 크레이지 슬롯수여의 범위가 매우 넓었던 것을 알려주는 좋은 예이다.
이에 비하여 조선시대는 크레이지 슬롯의 수여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문과·무과의 전시(殿試) 급제자에게만 주었다. 그 양식은 홍색의 종이에 성명과 갑과·을과·병과의 구분 등을 기입하고, 연·월·일의 연 밑에 어보를 찍었다.
임진왜란 때는 공명크레이지 슬롯(空名紅牌)를 각 진영에 보내 전공자의 성명을 기입하고 전공에 따라 등급을 정하였다. 이와같이 크레이지 슬롯가 남발됨에 따라 크레이지 슬롯매매나 위조크레이지 슬롯의 폐단이 나타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