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슬롯 홍득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장령, 헌납, 병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재후(載厚)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9년(숙종 15)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주요 관직
장령|헌납|병조참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크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장령, 헌납, 병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재후(載厚). 홍정설(洪廷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우적(洪禹績)이고, 아버지는 유학 홍현(洪鉉)이며, 어머니는 이씨(李氏)이다. 마크 슬롯 집의 홍상직(洪相直)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3년(경종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나 분관(分館)시 승문원(承文院)에서 누락(漏落)되었다가 1725년(영조 1)에 조용(調用)되었고, 1734년 9월 마크 슬롯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었다.

1736년 마크 슬롯부장령(司憲府掌令)에 올라 과장(科場)의 폐단을 바로 잡는 데 힘써 노력하였고, 1740년 정언(正言)으로 진출하였다가 이듬해 다시 마크 슬롯부장령으로 복귀하였다. 1742년 남혜로(南惠老)의 사건이 발생하자 그를 파직해야 한다는 소를 올리다 견책을 받아 장령에서 체직되었다가 복직되었다.

그 뒤 1745년부터 장령·헌납을 번갈아 맡았다가 교리 한광회(韓光會)의 탄핵으로 일시 파직되기도 했으며, 1757년에는 병조참의에 올라 영조가 친히 행한 문신전강(文臣殿講)에서 70세의 노구에도 불구하고 능히 경서(經書)를 외었으므로 특별히 녹피(鹿皮)가 하사마크 슬롯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마크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마크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마크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마크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