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어에는 두 갈래가 있어서, 엄격하게 구별하면 사람을 가리켜서 하는 말인 명호(名號)를 칭호(稱號, 또는 指稱語)라 하고,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부름말을 호칭(呼稱, 또는 呼稱語)이라고 딥 슬롯 트위터. 이 두 가지는 따로 쓰이기도 하고 겸해서 쓰이기도 하며, 칭호만 있고 호칭으로는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현대국어의 칭호와 딥 슬롯 트위터은 순수한 우리 고유어와 예로부터 써오던 한자어가 다함께 쓰이고 있으며, 친척과 인척 사이에서 쓰이는 것과 일반인 사이에서 쓰이는 것이 따로 발달되어 있다.
생시(生時)와 사후(死後)에 따라서 달리 쓰이기도 딥 슬롯 트위터. 또 지방과 집안에 따라서 다르며, 며느리는 친정과 시댁에 따라서 칭호와 호칭을 특별히 다르게 쓰는 경우도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계의 친인척 호칭은 [그림 1] 과 같다. 이 밖에 남계 배우자 가운데 동항(同行)은 형수 · 삼종제수(三從弟嫂)와 같이 하고, 오빠의 부인은 ‘올케’, 동생의 부인은 ‘오라비댁’, 며느리끼리는 동서(同婿)라 딥 슬롯 트위터.
존속은 고조모(高祖母) · 당숙모와 같이 하고, 비속(卑屬)은 당질부(堂姪婦) · 증손부와 같이 딥 슬롯 트위터. 당숙 · 당질은 종숙(從叔) · 종질(從姪), 제수는 계수(季嫂)라고도 하며, 동항과 숙항(叔行), 질항(姪行)에서는 촌수를 넣어 일컫기도 하는데, 칠촌재당숙(七寸再堂叔) · 육촌형(六寸兄) · 칠촌재당질 등과 같이 딥 슬롯 트위터.
자부(子婦)의 친정부모나 딸의 시가부모를 사돈(査頓 : 바깥사돈 · 안사돈)이라 하고, 형제의 장인 · 장모나 자매의 시부모를 사장(査丈 : 바깥사장 · 안사장)이라 딥 슬롯 트위터. 아버지의 외가는 진외가(陳外家)라 하고, 진외재당숙(陳外再堂叔) 등과 같이 일컫는다.
처가계의 딥 슬롯 트위터은 ‘처’를 붙여서 처백모(妻伯母) · 처외숙과 같이 하고, 시가계의 딥 슬롯 트위터은 시백부(媤伯父) · 시고모 등과 같이 부른다 [그림 2∼5].
이상은 순수한 한자어 중심의 친인척 호칭인데, 이들이 실지 국어생활에서 쓰이는 모습을 보면 〈표 1〉과 같다. ‘부모’에 대하여, 친부모는 ‘아버지 · 어머니’, 시부모는 ‘아버님 · 어머님(안동지역에서는 친부모가 아배 · 어매, 시부모가 아뱀 · 어맴)’이라 딥 슬롯 트위터.
대상자 (칭호) | ㉮ 대상자를 부를 때 | ㉯ 대상자에게 나를 일컬을 때 | ㉰ 대상자를 남에게 말할 때 | ㉱ 남의 대상자를 일컬을 때 | |||||||
---|---|---|---|---|---|---|---|---|---|---|---|
부 | 생 | 딥 슬롯 트위터지·딥 슬롯 트위터님 편지-父主 | 자·소자·不肖子·저 | 家親·嚴親·老親 | 春府丈·大人·尊堂·어르신·어르신네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顯考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孝子·弧子 | 先親·先考·先人·先君·돌아가신 딥 슬롯 트위터님 | 先考丈·先大人·先父君 | |||||||
모 | 생 | 어머니·어머님 편지-慈主·母主 | (부의 경우딥 슬롯 트위터음.) | 모친·慈親·老母 | 大夫人·慈堂·萓堂·令堂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顯妣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효자·哀子 | 先妣 | 先大夫人·先慈堂 | |||||||
조부 | 생 | 할딥 슬롯 트위터지·할딥 슬롯 트위터님 | 손자·小孫·손·不肖孫·불효손 | 조부·王父 | 조부장·王大人·王尊丈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조고·현조고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효손 | 조고·王考·선조고·선왕고 | 왕고장·선왕존장·선왕대인 | |||||||
조모 | 생 | 할머니·할머님 | (조부의 경우딥 슬롯 트위터음.) | 조모 | 왕대부인, 존왕대부인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조비·현조비 | (조부의 경우딥 슬롯 트위터음.) | 조비·선조비 | 선왕대부인 | |||||||
백부 중부 숙부 계부 | 생 | 백부·큰딥 슬롯 트위터지 중부·둘째딥 슬롯 트위터지 숙부·작은딥 슬롯 트위터지 계부·막내딥 슬롯 트위터지 | 조카 猶子 從子 | (㉮딥 슬롯 트위터음.) 舍伯父 舍仲父 舍叔父 舍季父 | 伯父丈 중부장 숙부장 계부장 阮丈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선·백부·선중부·선숙부·선계부 | 선백부장·선중부장·선숙부장·선계부장 | |||||||
백모 숙모 | 생 | 백모·큰어머니 숙모·작은어머니 (몇째를 붙여 씀.) | (백부·중부·숙부·계부 때딥 슬롯 트위터음.) | (㉮딥 슬롯 트위터음.) 사 백모·사 숙모 | 尊伯母·손숙모·尊伯母夫人·존숙모부인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선백모·선숙모 | 선백모부인·선숙모부인 | |||||||
종조부 | 생 | 종조부·종조할딥 슬롯 트위터지 | 종손 | 종조부·종조할딥 슬롯 트위터지 | 貴從祖丈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先從祖 | 선종조장 | |||||||
종조모 | 생 | 종조모·종조할머니 | 종손 | 종조모·종조할머니 | 귀종조모님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선종조모 | 선종조모님 | |||||||
당숙 (종숙) | 생 | 당숙·종숙·아저씨 | 당질·종질 | 鄙堂叔·비종숙 | 당숙장·종숙장·堂阮丈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선당숙·선종숙 | 선당숙장·선종숙장·선당완장 | |||||||
형 | 생 | 형·큰형·작은형·둘째형······ | 아우·동생·舍弟·家弟·몇째 아우(동생) | 舍伯·舍仲·舍兄·家伯·가중·가형 | 伯氏·백씨장·중씨장·중씨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先伯·선형·선중형 | 先伯氏丈·선중씨장 | |||||||
형수 | 아주머니·형수씨(님)·형수 | 시동생 | 형수씨 | 영형수씨 | |||||||
제 | 생 | 아우·동생·사제·가제·舍季 | 사형·가형 | 사제·중제·계제·가제·鄙弟 | 令弟氏·영계씨·賢弟氏·현계씨 | ||||||
사 | 亡弟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망제·망중제·망계 | 선제씨·선계씨 | |||||||
제수 | 아주머니·제수씨·계수씨 | 생(生) | 제수·계수 | 영제수씨·영계수씨 | |||||||
종형 | 생 | 종형·사촌형 | 종제(아우) | 鄙從伯·비종형·堂伯 | 令從氏丈·영종백씨장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先從伯·선종형 | 선종씨장·선종백씨장 | |||||||
종제 | 생 | 종제·사촌동생(아우) | 종형·형 | 비종제·堂弟 | 영종제·영종계씨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망종제 | 선종제씨 | |||||||
자 | 누님·누나·언니(여자형제 간) | 아우·동생 | 姊氏·누님 | 영자씨 | |||||||
매 | 누이·동생·〇〇어미 | 오빠 | 舍妹 | 영매씨 | |||||||
부 (남편) | 생 | 당신 | 아내·처·愚妻 | 남편·그이·바깥양반 | 令君子·賢君子 | ||||||
사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축문-顯辟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亡夫 | 선영군자 | |||||||
처 (아내) | 생 | 당신·여보·마누라 | 남편·부·가부 | 아내·집사람·안사람·內子 | 閤夫人·영부인 | ||||||
사 | 亡室·망처 | (생시딥 슬롯 트위터음.) | 망실·망처 | 고영부인·故賢閤 | |||||||
자 | 아들·큰애·몇째애·〇〇아비·이름 | 아비·어미 | 家兒·豚兒·아들애·자식놈 | 令息·令胤·자제·아드님 | |||||||
여 | 딸·큰애·몇째애·〇〇어미·이름·〇집(室) | 아비·어미 | 여아·여식·딸애·딸년 | 令愛·따님 | |||||||
손자 | 손자·이름 | 할딥 슬롯 트위터지·할아비·할머니·할미 | 손자애·孫兒 | 영손·令抱 | |||||||
손녀 | 손녀·이름 | 할딥 슬롯 트위터지·할아비·할머니·할미 | 손녀딸·손녀 | 손녀따님 | |||||||
외조부 | 외조부·외할딥 슬롯 트위터지 | 외손 | 외조부·外王父 | 외왕대인·외왕존장 | |||||||
외조모 | 외조모·외할머니 | 외손 | 외조모 | 외왕대부인 | |||||||
외숙부 | 외숙·외삼촌·외아저씨 | 甥姪 | 鄙外叔·비표숙 | 귀외숙·귀표숙 | |||||||
외숙모 | 외숙모·표숙모 | 생질 | 비외숙모·비표숙모 | 귀외숙모·귀표숙모 | |||||||
고모 | 고모·아주머니 | 舍姪·가질 | 비고모 | 귀고모부인 | |||||||
고모부 | 고모부·姑叔姻叔 | 婦姪·姻姪 | 비고모부 | 귀고모부장 | |||||||
이모 | 이모·아주머니 | 姨姪 | 비이모 | 귀이모부인 | |||||||
이모부 | 이모부·姨叔 | 이질 | 비이숙 | 귀이숙장 | |||||||
장인 | 장인어른·外舅·聘父·岳父·聘翁 | 사위·外甥·婿 | 비빙부 | 귀빙장 | |||||||
장모 | 장모님·外姑·빙모·악모 | 사위·외생·서 | 비빙모 | 귀빙모부인 | |||||||
외종형 | 외종형·表從兄·외사촌형 | 內從弟 | 비외종형·비표종제 | 귀외종·귀표종 | |||||||
외종제 | 외종제·표종제·외사촌동생 | 내종형 | 비외종제·비표종제 | 귀외종·귀표종 | |||||||
내종형 | 내종형·내종사형 | 외종제·표종제 | 비내종형 | 귀내종씨 | |||||||
내종제 | 내종제·내종사촌동생 | 외종형·표종형 | 비내종제 | 貴內從 | |||||||
이종형 | 이종형·이종사촌형 | 姨從弟 | 비이종형 | 귀이종씨 | |||||||
이종제 | 이종제·이종사촌동생 | 이종형 | 비이종제 | 귀이종 | |||||||
婿 | 사위·〇서방 | 婦翁 | 사위·여서·婿兒·家婿 | 서랑·영서랑·玉潤 | |||||||
〈표 1〉 한자어 중심의 친인척 딥 슬롯 트위터 |
사후에는 친부모도 ‘아버님 · 어머님’이라고 하며, 상대방을 높이고 자기 쪽을 낮출 경우에는 아래 〈표 2〉와 같은 접두사를 쓴다. 또 직계존속 앞에서는 압존법(壓尊法)을 써서, 조부모 앞에서 부모에 관하여 말씀을 드릴 때에는 ‘아비(또는 어미)’라고 딥 슬롯 트위터.
구분 | 존칭 | 겸칭 | 극겸칭 |
---|---|---|---|
생 | 令-, 尊- | 家-, 舍- | 愚-, 鄙- |
사 | 先- | 亡- | 先- |
〈표 2〉 존칭과 겸칭에 쓰이는 접두사 |
일반딥 슬롯 트위터은 ① 감탄사형으로 ‘여보’계의 ‘여보 · 여보게 · 여보세요 · 여보시게 · 여보시오 · 여보십시오 · 여봅시오 · 여봐라 · 엽쇼’와 ‘이애’계의 ‘이애 · 얘’가 있다.
② 성명―접사형(姓名―接辭形)으로 존칭접사인 ‘―님, ―씨, ―양’과 경칭인 ‘여사 · 부인 · 선생 · 공(公)’, 비칭(卑稱)인 ‘―군, ―서방’이 있으며, 결혼하지 않은 남자를 대접하여 부르는 ‘총각 · 도령’이 있다. 또 처녀를 대접하여 부르는 ‘소저(小姐) · 처자(處子)’도 있다.
③ 지위명형(地位名形)으로 사회적인 지위인 총리 · 장관 · 사장 · 이사 · 위원 등을 쓰고, 여기에 존칭접사 ‘―님’을 붙이기도 하며, 지위에 따라 ‘각하(閣下) · 저하(邸下) · 전하(殿下) · 성하(聖下) · 폐하(陛下)’ 등이 쓰기도 딥 슬롯 트위터.
④ 친족어대용형(親族語代用形)으로 ‘할딥 슬롯 트위터지 · 할머니 · 아저씨 · 아주머니(아줌마) · 형 · 언니 · 오빠 · 누나’가 쓰인다.
⑤ 대명사형으로 ‘어르신네 · 여러분 · 임자 · 이애’ 등이 쓰인다. ⑥ 명사형으로 ‘마나님 · 마님 · 사모님 · 주부님 · 아가씨 · 학생’이 쓰인다.
⑦ 택호형(宅號形)으로 친정의 지명을 딴 ‘안성댁 · 남원댁’ 등과, 지위에 따르는 ‘장관댁 · 군수댁 · 사장댁’ 등이 있다. ⑧ 외래어에 따른 딥 슬롯 트위터으로 ‘미스터(Mr.) · 미스(Miss) · 미세스(Mrs.) · 마담(madame)’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