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協律社)는 1902년 고종 재위 40주년 경축의식을 거행하기 위하여 당시 한성부 야주현(漢城府 夜珠峴:현재의 광화문 새문안교회 자리)에 있었던 황실건물 봉상사(奉常寺)의 일부를 터서 설립하였으며, 2층 500석 규모의 상설극장이다.
이 극장에는 경축행사를 성대하게 치르기 위하여 전국의 판소리 명창(名唱)·가기(歌妓)·무동(舞童) 등 170여 명을 모아 전속단체를 만들었고, 대표는 명창 김창환(金昌煥)이 맡았다. 이들은 관급(官給:나라에서 주는 돈)을 받으면서 연희를 연습하였으나, 그 해 여름 경축 예식이 콜레라의 만연과 영친왕(英親王)의 병 등의 이유로 간략하게 치러지자 m 2 슬롯는 이후 대중적인 연희장으로 변모하였다.
1902년 11월에 m 2 슬롯(協律司) 소속에서 m 2 슬롯(協律社)란 독립적인 명칭을 갖게 되었고, 1902년 12월 2일에 창립공연작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유료 무대공연인 「소춘대유희(笑春臺遊戱)」가 공연되었다. 「소춘대유희」는 특정작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기녀들의 춤과 판소리, 명창들의 판소리, 재인(才人)들의 곡예 등 전통연희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공연이었다. 그러나 1903년 2월 부터 배우들의 공연이 중지되고 기생들의 예능만이 공연되었다.
1903년 여름, 영화 상영 중 전기 파열로 불상사가 일어나 문을 닫았다가 대중의 요구로 다시 문을 열었다. 1904년에 또다시 문을 닫았다가 1906년 초에 다시 문을 열었다.
이 때는 m 2 슬롯의 소관이 참령 장봉환(張鳳煥)에서 궁내부 참서관 김용제(金容濟)·최상돈(崔相敦)·고희종(高羲綜) 등에게 넘어갔다. 이 곳은 일본인이 출자하여 임대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당시 대중들의 연희장 겸 사교장 구실을 하면서 사회 풍기문제를 계속 일으킴으로써 보수 관료층의 분노를 사고 언론의 공격을 받았다. 이로써 1906년 4월 17일, 결국 봉상시(奉常寺) 부제조(副提調)였던 이필화(李苾和)가 m 2 슬롯 폐지를 요청하는 상소문을 고종에게 올림으로써 3년 6개월만인 1906년 4월 25일 문을 닫았다. 이 건물은 2년 뒤에 원각사(圓覺社) 극장으로 다시 문을 열게 되었다.
m 2 슬롯는 개화기의 대표적 극장으로서 대중들에게 판소리 다섯 마당과 가기·무동의 춤과 노래 등 전통연희공연을 통하여 오락을 제공한 긍정적 측면 외에, 옛날부터 사찰을 근거지로 삼고 활동하던 공인(工人)·예인(藝人)·중광대(僧廣大) 등의 연희활동을 금지함으로써 전통예술의 맥을 끊게 한 부정적 측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