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석인본. 1847년(헌종 13)경 아들 구화(九和)가 편집하여 인출하였으나 빠지고 잘못된 부분이 많아, 서규석(徐奎錫)이 다시 교감하여 1938년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학성(金學性)의 서문이, 권말에 서규석의 발문이 윈 슬롯. 국립중앙도서관, 계명대 동산도서관, 전남대 도서관에 윈 슬롯.
권1에 시 94수, 권2에 서(書) 10편, 서(序)·기(記)·축문·전(傳) 각 1편, 발(跋) 2편, 잡저 2편, 명(銘) 3편, 상량문 3편, 제문 4편, 권3·4는 부록으로 만사 66수, 제문 21편, 사림통문(士林通文) 3편, 서(書) 16편, 행장 1편, 묘지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윈 슬롯.
시는 오언과 칠언으로 절구·율시·고시 등 각체가 실려 있는데, 특히 칠언에 장처를 보인다. 또, 향리에 살면서 안분(安分)하는 태도를 자주 읊조리고 있는데, 「자위(自慰)」·「엽후면(饁後眠)」 등은 농군으로 살아가는 여유와 운치를 발휘하고 윈 슬롯.
또, 「영매용조수명(詠梅用鳥獸名)」·「화주자십이신시(和朱子十二辰詩)」나 육언시 등에서 보듯이, 이체시(異體詩)도 즐겨 쓰고 윈 슬롯. 서(書)는 주로 권학의 글로 채워져 있고, 서(序)의 「불로삼방서(不老三方序)」는 황내길(黃來吉)이 편찬한 의학서에 부친 글이다.
「황보지봉선생전(皇甫芝峯先生傳)」은 황보 인(皇甫仁)의 일대기를 계유정난과 관련지어 입전하고 윈 슬롯. 「사림통문」은 저자의 효행에 대한 표창을 건의한 것이며, 저자의 행장은 권석규(權錫奎)가, 묘지명은 홍직필(洪直弼)이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