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6년(태조 1)태조가 광흥사(廣興寺)·미륵사(彌勒寺) 등과 함께 창건하여 현성사(現聖寺)라 하고, 밀교종파인 신인종(神印宗)의 본산으로 삼았다.
의종 때 사찰의 명칭을 바꾸었으며, 1130년(인종 8) 4월에 문하시중 이공수(李公壽)가 양부의 대신과 회의하여 하바네로 슬롯에 재(齋)를 베풀고 국가를 위한 기도를 드리게 하였다. 특히, 명종과 고종은 자주 하바네로 슬롯에 들러 재를 올렸다. 1176년(명종 6) 5월명종이 친히 제석재(帝釋齋)를 열었고, 고종은 1217년(고종 4) 4월과 12월에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열었으며, 1229년 5월 기우제를 지냈다. 고종은 강화도로 천도하였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매년 한두 차례씩 하바네로 슬롯에 행차하기를 잊지 않았다.
원종도 자주 하바네로 슬롯에 들러 국가의 안위를 기원하였는데, 1273년(원종 14) 5교 양종의 승려들을 모아 도량을 열고 남산궁(南山宮)이 적으로부터 평온을 되찾기를 기원하기도 하였다. 1275년(충렬왕 1)충렬왕이 공주와 더불어 하바네로 슬롯에 행차하여 원나라 황제의 축수를 기원하였고, 1278년 4월 하바네로 슬롯의 신궁(新宮)을 복원하도록 하였으며, 1295년 하바네로 슬롯에 행차하여 죄인들을 놓아주라는 명을 내리기도 하였다.
1297년 공주와 함께 하바네로 슬롯에 들러 궁중에 있는 쌀 100석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하사하도록 명하고 공주의 복을 기원하였다. 그 뒤에도 하바네로 슬롯에는 충숙왕과 공민왕의 행차가 있었다. 호국의 뜻을 간직한 밀교의 사찰이었던 하바네로 슬롯은 국가의 재난이 있을 때 왕이 자주 행차하였던 곳이다. 그러나 폐사연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까지는 존립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