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그마틱 슬롯 헌헌헌문집 ()

헌헌헌문집
헌헌헌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여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여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83년(고종 20) 김여중의 9세손 김태한(金台漢)이 편집하고, 1929년 송주헌(宋柱憲)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환기(宋煥箕)의 서문, 권말에 김영근(金永根)의 발문이 프라그마틱 슬롯.

서지적 사항

3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프라그마틱 슬롯.

내용

권1에 부(賦) 4수, 제문 2편, 시 40수, 격서(檄書)·기(記)·묘지 각 1편, 권2·3에 부록으로 박수구(朴壽龜)가 쓴 행장, 김평묵(金平默)의 묘갈명, 안수린(安壽麟)의 기사(記事), 송환기의 성원현록(姓苑賢錄)과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 저자의 무공을 칭송한 전라도좌의병장임계영상소(全羅道左義兵將任啓永上疏), 김태한의 발문, 행장 4편, 묘갈명 1편 등이 수록되어 프라그마틱 슬롯.

부의 「양월일부경연부(兩月一赴經筵賦)」는 진사 급제 시 지은 글로 결락된 자구가 많으며, 「삼고탈곤륜부(三鼓奪崑崙賦)」는 전란에서 무공을 세운 저자의 웅혼한 기상이 잘 드러나 있는 글이다. 시 가운데 「관주사호운(觀舟師呼韻)」도 이와 같은 저자의 기백을 보여 주는 것이며, 「독주자대전유감음(讀朱子大全有感吟)」은 경서를 읽고 그 감상을 읊은 것이다. 그밖에도 「월하즉사(月下卽事)」·「춘의호운(春意呼韻)」 등 일상의 한가로움과 계절의 변화 프라그마틱 슬롯 서정적 문체로 읊은 것이 다수 실려 있다.

「한거즉사(閒居卽事)」에서는 “머리 큰 아이놈의 모자가 쉽게 벗겨지듯/ 이빨이 빠져버려 말하기도 어렵구나./ 나비가 꽃에 머금은 이슬을 뿌리자/ 향기로운 수풀에는 저녁안개가 자욱하다.”라고 노래하였다. 그리고 「임진모의격서(壬辰募義檄書)」는 임계영·박광전(朴光前) 등과 임진왜란 당시 기병할 때 전라도 여러 읍에서 의병을 모집한 격문프라그마틱 슬롯.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때의 전라도 의병의 활약상과 조선 중기 향촌 사족의 한문학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저술프라그마틱 슬롯.

관련 프라그마틱 슬롯 (3)
집필자
구선희(고려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프라그마틱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프라그마틱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프라그마틱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프라그마틱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