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 파파 슬롯 허목 수고본 ( )

허목수고본 중 고문운부
허목수고본 중 고문운부
서예
문헌
국가유산
조선후기 문신 · 학자 허목의 자필 원고 『동해비첩』 · 『금석운부』 · 『고문운부』 등을 수록한 전적류.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파 파파 슬롯 수고본(許穆 手稿本)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5년 05월 1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파 파파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허목의 자필 원고 『동해비첩』 · 『금석운부』 · 『고문운부』 등을 수록한 전적류.
내용

197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3종 12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파 파파 슬롯의 수고본들은 다음과 같다.

① 동해비첩(東海碑帖): 재료는 저지(楮紙), 장정은 첩장(帖裝), 크기는 세로 50㎝, 가로 32.7㎝, 필사본으로 총 27면이다. 파 파파 슬롯의 글씨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인데, 이 비첩은 그 동해비의 저고본(底稿本: 초벌로 쓴 원고본)이다.

② 금석운부(金石韻府): 재료는 저지, 장정은 선장(線裝), 크기는 세로 34.5㎝, 가로 22.7㎝, 필사본으로 2책이다. 전서(篆書)의 명가인 파 파파 슬롯이 편찬한 전서자전(篆書字典)으로, 제목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성별(四聲別)로 순서를 정하고, 각개자(各個字)에는 먼저 정서자(正書字)를 쓰고 다음에 각체(各體)의 전(篆)을 기입하였다. 주로 금석에 나타난 것을 수록하였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때 석판(石版)으로 영인, 간행한 적이 있다. 그의 편서 『고문운부』와 함께 전서자전의 쌍벽을 이룬다.

③ 고문운부(古文韻府): 재료는 저지, 장정은 선장, 파 파파 슬롯는 세로 34.5㎝, 가로 22.7㎝, 필사본으로 9책이다. 편찬 체재는 『금석운부』와 다를 바 없으나, 다만 『금석운부』는 금석에 나타난 자료를 수록한 데에 비하여 이 책은 금석을 비롯하여 각종 고문을 총망라한 것이므로 내용이 더 풍부하다.

우리나라 전서의 참고문헌인 김진흥(金振興)의 『전학지남(篆學指南)』보다 질이나 양에 있어 훨씬 뛰어나다. 유일한 자필 수고본으로서 세칭 ‘미수전(眉叟篆)’을 연구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 자료파 파파 슬롯.

참파 파파 슬롯헌

『미수 파 파파 슬롯의 학문과 사상』(미수연구회 편, 1993)
『문화재대관』8(파 파파 슬롯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9)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파 파파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파 파파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파 파파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파 파파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