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슬롯 머신 향령무 ()

목차
관련 정보
순조무자진작의궤 / 향령
순조무자진작의궤 / 향령
무용
작품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캐릭터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 캐릭터 슬롯 머신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6명의 무원(舞員)이 品자 모양으로 벌려 서서 각각 두 손에 방울을 들고 가곡(歌曲)의 <계락 界樂> 가락에 맞추어 노래부르며, 장단에 따라 방울을 흔들고 뿌리면서 춤을 춘다.

춤은 가곡 중 계락의 대여음(大餘音)에서 나아가고, 초장부터 5장까지 노래캐릭터 슬롯 머신는 사이에 수수쌍불(垂手雙拂)·좌소전(左小轉)·우소전(右小轉)·합선(合蟬)·좌타장(左打場)·우타장(右打場)·좌정수(左呈手)·우정수(右呈手)·합정수(合呈手) 등의 춤사위에 의하여 춘다.

이 춤에 나오는 무두사(務頭詞)·중박사(中拍詞)·미후사(尾後詞)의 세 가지 창사 가운데에서 1930년대에는 캐릭터 슬롯 머신 어제(御製)인 무두사만 부르며 춤을 추었다. 무두사 창사는 다음과 같다.

“옥전요궁주관현(玉殿搖宮奏管絃)/열신선(列神仙)/봉삼인대타향연(鳳衫麟帶拕香烟)/무편편(舞翩翩)/유원종금(惟願從今)/군왕수(君王壽)/영제천(永齊天)/춘풍담탕백화전(春風澹蕩百花前)/만년년(萬年年).”

이 춤의 기(妓)의 복식은 1828년(캐릭터 슬롯 머신 28)의 ≪진작의궤≫에 나오는 무도(舞圖)에서 볼 수 있으며, 무동의 복식은 1829년의 ≪진찬의궤≫에 의하면 아광모(砑光帽)를 쓰고, 녹라포(綠羅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에 무우리(無憂履)를 신는다.

이 춤의 무보와 창사는 1893년(고종 30)의 ≪캐릭터 슬롯 머신무도홀기 呈才舞圖笏記≫에 전하며 1930년대까지도 거문고와 캐릭터 슬롯 머신의 명인인 이수경(李壽卿)의 지도에 의하여 전수되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참고문헌

『캐릭터 슬롯 머신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
『고종계사캐릭터 슬롯 머신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캐릭터 슬롯 머신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캐릭터 슬롯 머신전통무용』(성경린, 일지사,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캐릭터 슬롯 머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캐릭터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캐릭터 슬롯 머신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