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형 A5판. 70면. 1949년 정음사(正音社)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전라도길」·「손가락 한마디」·「벌」·「목숨」·「삶」 등 25편의 시와, 그를 시단에 소개한 이병철(李秉哲)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집이 나올 때 한하운은 방랑생활 중인 나병환자였다.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집과 그 뒤에 발표된 그의 모든 시에는 나병환자라는 자신의 기구한 운명과 그에 따른 처절한 체험이 주된 내용을 이루고 있다.
그 체험은 그 자체가 특이한 것이기에 호소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지만, 한하운은 감상을 자제하고 그것을 객관화함으로써 표현 효과를 더욱 높이고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소록도로 가는 길’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전라도길」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
특히,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의 제5연 “버드나무 밑에서 지까다비를 벗으면/발가락이 또 한개 없다.”는 대목은 제6연의 “앞으로 남은 두개의 발가락”과 더불어 화자의 나병이 절망적으로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언어는 마치 남의 일을 말하듯 하는 객관성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객관성은 화자의 비통한 체험에 대한 상상적 추체험(想像的追體驗)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집에는 또 처참하게 버림받은 자의 애절한 꿈을 민요적 가락으로 읊은 시도 수록되어 있다.
「파랑새」라는 작품이 그 대표적인 예인데, 소월시(素月詩)의 민요적 기풍을 방불하게 하는 이러한 경향은 제2시집 『보리피리』에 수록되어 있는 「보리피리」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마비노기 추가 스킬 슬롯집은 한국 신문학사에 등장한 최초의 나환자 시집으로서, 특이한 체험을 객관적인 어조로 혹은 민요적 가락으로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