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이목의 후손 이존원(李存原)과 이응호(李膺浩) 등이 구본(舊本)에서 빠진 원고를 보충하여 편집·중간슬롯 머신 하는 법. 중간서(重刊序)는 송병화(宋炳華)가 썼는데, 저자의 일생을 평가하고 중간하게 된 경위를 밝혔다.
2권 1책. 목활자본. 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소장본에는 부록이 있다.
권상(卷上)에 사부(詞賦) 10편, 시 32수, 권하에 송(頌) 1편, 책(策) 3편, 기(記)·해(解)·제문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는 찬양하거나 경계한 글, 풍자하거나 서정을 토로한 글 등 주제가 다양하다. 「홍문관부(弘文館賦)」 서문에서는 부의 역사와 의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작품을 지은 동기를 말슬롯 머신 하는 법. 본문에서는 옛 성현의 가르침을 전하는 홍문관의 높은 뜻을 기리고 있다. 「여융부(女戎賦)」에서는 여희(驪姬)의 고사를 들어 역사적인 교훈을 찾고 있다.
「입춘부(立春賦)」에서는 봄이 온 것이 임금의 정치가 잘 이루어짐을 의미한다고 하여 훌륭한 치세를 찬미슬롯 머신 하는 법. 「허실생백부(虛室生白賦)」는 『장자(莊子)』에 나오는 구절을 풀이한 글로, 서문에서는 이단인 장자의 설을 수용하는 데 대한 변명을 적었다. 이 밖에도 「다부(茶賦)」·「영주사부(永州蛇賦)」·「삼도부(三都賦)」 등이 있다.
시는 대개 증여시나 유람시가 많으며, 주로 자연의 경치나 교유의 정을 묘사슬롯 머신 하는 법. 「양재역(良才驛)」에서는 농사꾼의 고된 생활과 떠돌아다니는 나그네의 이질적인 생활상을 대비시켜 묘사슬롯 머신 하는 법.
「절명가(絶命歌)」는 무오사화 때 사형당하면서 부른 것으로 보인다. 까마귀와 백로로써 당시 사회 실정과 자신의 신세를 풍자슬롯 머신 하는 법. 제목 아래 ‘반언(反諺)’이라고 한 것을 보면, 원래는 2수의 시조였던 듯하다. 「봉명조양송(鳳鳴朝陽頌)」은 천자의 장수와 공덕을 기린 글이다.
책은 천문의 변화에 따른 인간사의 변화, 치란흥망의 책임, 인재 선발 등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상경조운해(象耕鳥耘解)」는 순(舜)임금의 덕이 금수까지 감화시킬 수 있었음을 변증한 것이다. 「제윤정승호문(祭尹政丞壕文)」은 성종의 장인인 윤호에 대한 제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