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판. 322면.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인문연구 전간(專刊) 제5집’으로, 1971년 일조각(一潮閣)에서 출간하였다. 영문요약과 국문색인·영문색인이 붙어 있다.
제1장 한국슬롯 가입 머니과 민속학, 제2장 민담과 슬롯 가입 머니, 제3장 한국민간전승, 제4장 한국슬롯 가입 머니과 민속비평적 고찰이라는 4개의 장 아래 15개의 별도의 논문이 들어 있다.
1960년대 후반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한 고전슬롯 가입 머니과 현대슬롯 가입 머니을 잇는 한국 슬롯 가입 머니의 지속성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방법론적인 반성과 모색을 시도하여 새로운 이론 정립으로 국슬롯 가입 머니연구 슬롯의 새로운 지평을 연 업적으로 손꼽힌다.
향가·고려가요·국조신화(國祖神話)·민담·고전소설·전승제의(傳承祭儀) 등 국슬롯 가입 머니의 넓은 슬롯에 걸쳐 구비슬롯 가입 머니의 이론을 국슬롯 가입 머니연구의 기본적인 영역으로 끌어들임으로써 현대슬롯 가입 머니과 고전슬롯 가입 머니의 관련성을 입증하는 토대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고대의 신화로부터 슬롯 가입 머니의 원형을 찾아 제의와 관련시켜 그 형성과 의미를 추적하는 이 작업은 이후에 후대의 무가나 탈춤·속신·수수께끼로까지 이어져 전개된다.
문예학·심리학·신화학·종교학의 원용과 구조주의·인류학 및 기호론에 입각한 광범위한 방법론적 관심은 내용 해설이나 문헌고증을 넘어서는, 연구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으로도 의의 깊은 것이다.
이러한 인접 학문의 성과를 활용한 국슬롯 가입 머니연구는 한국 슬롯 가입 머니의 세계 슬롯 가입 머니적인 보편성을 입증하는 한편으로 한국 슬롯 가입 머니의 독자성 및 특성을 규명하여주었다.
즉, 한국이라는 지역적 특수성 속에서 관념적으로 또는 주관적으로 굴절되면서 체계화되는 경향에 놓였던 슬롯 가입 머니연구의 경직성 또는 폐쇄성을 극복하여 한국 슬롯 가입 머니이 세계 슬롯 가입 머니과의 연장선 위에 존립함을 밝혔다.
한국 슬롯 가입 머니, 특히 조선 말기까지의 고전슬롯 가입 머니에서 민간전승과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소재의 회귀적 반복을 추적함으로써 소재사 또는 주제사적인 맥락에서의 지속성을 지적하였다. 이는 곧 한국 슬롯 가입 머니이 창작슬롯 가입 머니과 민속슬롯 가입 머니의 결합에 의한 다층적 융합으로 특징지울 수 있다는 점에 귀결된다.
특히, 민담과 고전소설의 구조론이나 전기적 유형론(傳記的類型論), 재생모티브, 취임(就任)모티브, 신성혼인 및 신성쟁투(神聖爭鬪), 수(水)-월(月)-여(女)의 생생력(生生力) 상징, 입사식(入社式) 등의 중요한 개념과 용어가 등장하여 국슬롯 가입 머니의 학문적 연구에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구비슬롯 가입 머니을 국슬롯 가입 머니의 본령에 접합시켜 국슬롯 가입 머니의 영역을 확대시키면서 그 본질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 있는 이 책은 국슬롯 가입 머니과 민속학이라는 독자적 영역에서도 각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