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메이플 캐릭터 슬롯시기는 자세하지 않으나, 김석주가 편저한 ≪행군수지 行軍須知≫의 자서(自序)에 의하여 1679년(숙종 5) 이전에 이미 이 활자가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증보문헌비고≫에도 “숙종 초에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김석주가 메이플 캐릭터 슬롯를 시켜 소자(小字)를 쓰게 하고 동(銅)으로 주조하여 강목을 인출하니 이른바 ‘소자강목자’이다.”라고 하여 메이플 캐릭터 슬롯가 쓴 것임을 밝히고 있으나, 그 주조시기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일본인 학자 마에마(前間恭作)는 김석주의 할아버지인 김육(金堉)의 ≪잠곡집 潛谷集≫, 외숙 신최(申最)의 ≪춘소자집 春沼子集≫, 신정의 아버지인 신익성(申翊聖)의 ≪낙전당집 樂全堂集≫, 익성의 아우 익전(翊全)의 ≪동강집 東江集≫ 등의 인본이 1682년부터 그 뒤 2, 3년간에 나온 것임을 들어 숙종 8년 메이플 캐릭터 슬롯설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숙종 5년에 이 활자로 찍은 ≪행군수지≫가 현존함으로써 주조시기에 대해서는 그 이전으로 추정함이 타당하다. 이 활자는 독특한 소형 필서체이며, 1695년 정부가 사들여 책의 인쇄에 사용하다가 1782년(정조 6)에 재주(再鑄)하였다. 당시 평안도관찰사 서호수(徐浩修)가 왕명을 받아 만든 8만 3660자이며, ‘재주메이플 캐릭터 슬롯자’ 또는 그 해의 간지를 따 ‘임인자(壬寅字)’라 불렸다.
1857년(철종 8) 10월 주자소(鑄字所) 화재로 소실되어 다음해 규장각의 검교제학(檢校提學) 김병기(金炳冀), 제학 윤정현(尹定鉉)·김병국(金炳國) 등이 왕명으로 다시 3만 1829자를 주조하였는데 이를 ‘삼주메이플 캐릭터 슬롯자(三鑄韓構字)’라 한다.
삼주메이플 캐릭터 슬롯자는 자체(字體)에 박력이 없고 솜씨가 거칠어 많이 사용되지 않았던 듯, 그 인본은 거의 전하지 않는다. 다만 그 실물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간직되어 있어 고증에 참고가 된다. →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