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은 왕의 면복(冕服)의 곤복(袞服), 원유관포(遠遊冠袍)의 강사포(降紗袍), 벼슬아치의 조복(朝服)·제복(祭服)과 왕비의 적의(翟衣)에 딸린 것이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예복 위에는 이 섀도 어 슬롯 강화을 착용하였으며, 그 재료는 처음에는 가죽을 사용하였고, 그 뒤 포백(布帛)으로 바뀌었다.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면복의 착용과 함께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다. 조선시대 왕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보면 훈색(纁色 : 분홍색)의 증(繒 : 비단)으로 만들었으며 같은 색의 옷감으로 위·아래에 선을 둘렀는데 위는 비(紕), 아래는 준(純)이라 한다. 준(純) 안쪽에 오색선조(五色線條)로 된 순(紃)을 둘렀다.
그리고 그 안 양편에는 위에서 5치 밑으로 내려 차례로 조(藻)·분미(粉米)·보(黼)·불(黻)의 4장문을 수놓고 있다. 비(紕) 위의 가운데에 옷깃 같은 목이 있고 목 양옆에 옥구(玉鉤) 1개씩이 달려 있다. 1897년에 정한 12장복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보면 다른 것은 같되 훈색 나(羅)로 만들고 위에 용 1개, 아래에 화 3개의 장문을 수놓았다.
또한, 백관복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보면 왕의 섀도 어 슬롯 강화과 형태는 같되 적색 초(綃)로 만들었다. 같은 색과 같은 감의 비와 준이 있었고 준 안쪽에 백색선조(白色線條)를 둘렀다. 그리고 이에는 따로 문식(紋飾)이 없었다. 조선말에 이르러서는 조복의 적초의(赤綃衣)와 제복의 청초의(靑綃衣) 앞에는 각기 같은 색의 소형 섀도 어 슬롯 강화 모양의 것이 달리고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없어졌다.
이것을 속칭 눈물받이라 하였다. 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을 보면, 조선 후기의 대홍색 적의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대홍색으로 왕의 것과 같되 그 안에 무늬가 없는 것이었다. 1897년에 제정된 적의 제도에서 황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은 옷 빛깔과 같은 심청색(深靑色)에 적(翟)을 3등(等)으로 수놓고 그 사이에 소륜화(小輪花) 넷을 수놓는다.
그리고 추색(緅色)으로 깃을 하고 금직(金織) 운룡문단(雲龍紋緞)으로 가선을 두르며 저사사라(紵絲紗羅)를 형편에 따라서 쓴다고 되어 있다. 한편, 영친왕비의 섀도 어 슬롯 강화이 적의와 함께 동경국립박물관에 있는데 무늬에 있어서만 황후의 것과 차등이 있고 나머지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