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 슬롯 apk건은 조선시대 녹사(錄事)와 서리(書吏)의 관모이다. 녹사는 관모 뒤쪽에 좌우로 뿔을 꽂은 ‘유각피망 슬롯 apk건(有角平頂巾)’을 썼으며 서리는 뿔이 없는 ‘무각피망 슬롯 apk건(無角平頂巾)’을 썼다. 서리의 무각피망 슬롯 apk건은 ‘승두(蠅頭)’, 또는 ‘파리머리’라고도 하였다. 피망 슬롯 apk건의 모체는 앞이 높고 뒤가 낮은 형태이다. 윗면을 모가 난 평평한 형태로 덮었는데 뒤로 돌출된 부분이 있다. 영조대에 녹사가 사모를 쓰게 됨에 따라 서리만 피망 슬롯 apk건을 쓰게 되었으며 후기의 피망 슬롯 apk건은 자료마다 형태가 달라 정확한 형태를 밝히기는 어렵다.
피망 슬롯 apk건은 조선시대녹사(錄事)와피망 슬롯 apk(書吏)가 사용하는 모정이 평평한 관모이다. 녹사는 성중관(成衆官)으로 총칭되던 상급서리를 말하는데 세조 때 녹사로 정리되었다. 문반은 의정부에서, 무반은 중추부에서 파견하였으며 업무가 많은 관부나 대신들에게 배정되었다. 조선시대의 ‘피망 슬롯 apk건’은 1387년(우왕 13) 고려시대 관복 제도 중 서리가 쓴 ‘피망 슬롯 apk두건(平頂頭巾)’에서 비롯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예전(禮典) 의장조(儀章條)에 녹사는 ‘유각피망 슬롯 apk건(有角平頂巾)’에 ‘단령(團領)’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유각피망 슬롯 apk건이란 관모 뒤쪽에 좌우로 뿔을 꽂은 피망 슬롯 apk건을 말한다. 서리는 ‘무각피망 슬롯 apk건(無角平頂巾)’에 ‘단령’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서리의 무각피망 슬롯 apk건은 ‘승두(蠅頭)’ 또는 ‘파리머리’라고도 하였다.
피망 슬롯 apk건의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된 자료는 없다. 1585년(선조 18) 「선조조기영회도(宣祖朝耆英會圖)」의 하단 좌우에 부복하고 있는 인물을 볼 수 있는데, 우측에 있는 이들이 유각피망 슬롯 apk건에 분홍 단령을 착용한 녹사이고 좌측에 있는 이들은 무각피망 슬롯 apk건에 분홍 단령을 입고 있는 서리이다. 『경국대전』의 ‘단령’이 분홍 단령임을 알 수 있으며 피망 슬롯 apk건 뿔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피망 슬롯 apk건의 구체적인 구조를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윗면이 편평하면서 모가 났음을 알 수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의 1599년(선조 32) 《기로연시화첩(耆老宴詩話帖)》에 보이는 서리와 녹사의 모습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피망 슬롯 apk건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림에서 확인되는 측면 모습을 통해 피망 슬롯 apk건의 기본적인 모체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머리둘레에 해당하는 무(武) 부분과 앞이 높고 뒤가 낮은 전앙후면(前仰後俛) 형태를 이루는 중간 부분, 그리고 정부(頂部)를 덮은 덮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뒤로 돌출한 부분이 보인다. 특히 쐐기형의 중간 부분은 피망 슬롯 apk건의 특징인 앞이 높고 뒤가 낮은 형태를 만들어준다.
18세기 전기에 녹사의 유각피망 슬롯 apk건은 오사모, 즉 사모로 대체되었는데 그 시기는 1731년(영조 7)에서 1744년(영조 20) 사이이다. 1746년(영조 22) 『속대전(續大典)』에 “녹사는 오사모에 홍단령을 착용한다.”라고 하였다. 1757년(영조 33)에 영조는 “옛날에는 모대(帽帶)를 착용한 녹사가 있고 유각피망 슬롯 apk건과 도대(絛帶)를 착용한 녹사가 있었는데, 근년 이래로 모대를 착용한 녹사는 있어도 피망 슬롯 apk건을 쓴 자는 없으니, 의정부와 중추부(中樞府)로 하여금 고제(古制)를 회복하도록 하라.”라고 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사는 여전히 오사모를 사용한 것을 볼 때, 고제를 회복하라고 한 영조의 명은 이루어지지 않은 듯하다.
정조대의『대전통편(大典通編)』에는 영조대 이후 변화된 복제가 기록되어 있다. 녹사는 오사모와 홍단령 제도가 변하여 홍단령이 폐지되고 대소 조의(朝儀)에 청현색 단령을 착용한다고 하였고, 서리는 무각피망 슬롯 apk건만 기록되어 있어 홍단령을 그대로 착용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녹사가 사모를 사용하게 되면서 이후 서리의 ‘무각피망 슬롯 apk건’을 간략하게 ‘피망 슬롯 apk건’으로도 지칭하였다.
서리는 상복으로 피망 슬롯 apk건에 홍단령을 착용하고 공복으로는 피망 슬롯 apk건에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기축진찬도(己丑進饌圖)》(덕수, 1665)에서 흑단령 · 화자에 피망 슬롯 apk건을 착용한 진지서리의 공복 차림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784년(정조 8) 《문효세자 보양청계병(文孝世子輔養廳契屛)》 제6폭에는 피망 슬롯 apk건에 난모를 착용하고 있는 서리들의 모습이 보인다. 이 피망 슬롯 apk건에는 조선 전기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뒤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보인다. 1837년(헌종 3) 헌종과 효현왕후의 가례 반차도 중 여러 관아의 서리들이 등장하는데 청직령에 동일한 피망 슬롯 apk건을 쓰고 있다. 뒷모습에서 뒤로 늘어지는 부분이 확인된다. 그러나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한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에는 피망 슬롯 apk건을 쓰고 있는 이조(吏曹) 서리(그림 8)의 모습이 보이는데 뒷자락은 보이지 않고 정수리 앞 모정이 둥근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시대에 따라 형태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