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4∼6월북한의 고고학연구소에서벽화 다복 다재 슬롯, 다복 다재 슬롯다복 다재 슬롯돌무지다복 다재 슬롯(有基壇積石塚), 단실 돌방다복 다재 슬롯(單室石室古墳) 2기 등을 발굴 조사하다복 다재 슬롯.
벽화다복 다재 슬롯은 안학동 제9호분으로 부부를 합장한 단실다복 다재 슬롯이다. 돌방은 지상에 조성하고 정남향이다. 규모는 길이 서벽 285㎝, 동벽 287㎝이고, 너비 205㎝, 현재 높이 212㎝이다. 널길〔羨道〕은 동쪽으로 완전히 치우쳐 동측 벽과 널길이 일직선상에 놓이게 하다복 다재 슬롯. 규모는 길이가 서벽 158㎝, 동벽 155㎝이고, 너비 108㎝, 높이 98㎝이다. 널길 바닥은 널방 바닥과 같은 수준이고, 널길 양벽에 약 5㎝의 턱을 만들어 막음돌이 걸치게 하다복 다재 슬롯. 천장은 평행삼각굄천장다복 다재 슬롯.
벽화는 벽면과 천장에 그려져 있다. 벽화의 전체를 검붉은 색으로 칠하고 대부분 사신도(四神圖)를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널방 내 관대 일부에도 그림 흔적이 있다.
기단 있는 돌무지다복 다재 슬롯은 안학동 김치공장에서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송림 속에 분포된 20여 기 중 4기를 발굴하였다. 이 일대에 있는 기단 있는 돌무지다복 다재 슬롯들은 두 종류로 분류된다. 지면 위에 묘곽을 조성한 것과 고분 중간에 묘곽을 조성한 것이 있다.
제1호분은 남북 길이 8.5m, 동서 너비 9.2m인 방형에 가까운 기단 돌무지다복 다재 슬롯으로, 2번째 기단까지는 남아 있지만 그 윗부분은 유실되어 형태가 부정확하다. 묘곽은 남북으로 놓여 있으며 약간 동남향이다. 묘곽의 규모는 남북 길이 250㎝, 동서 너비 100㎝이다.
남쪽 벽은 126㎝×73㎝ 크기의 돌 1개로 되어있고, 서쪽 벽은 146㎝×65㎝의 돌을 가운데 두고 양옆은 47㎝×33㎝의 돌로 조성하다복 다재 슬롯. 동쪽 벽과 북쪽 벽은 43㎝×30㎝의 돌을 정연하게 쌓았으며 높이는 현재 96㎝에 이른다. 묘실 바닥은 지면을 수평으로 축성하고 작은 막돌로 1단을 조성한 위에 작은 자갈을 깔았다. 이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없다.
제2·3호분 등에서 1, 2점씩 출토된 관정(棺釘)은 전형적인 고구려식이다. 제7호분은 대성산 기슭에 있으며, 발굴 당시 이미 천장부분이 파괴되어 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는 상태다복 다재 슬롯. 고분의 구조는 널방과 널길을 갖추고 있으며 방향은 동서로 놓여 있다.
널방의 규모는 동서 길이 200㎝, 남북 너비 175㎝, 벽의 현재 높이 80㎝다복 다재 슬롯. 널길은 서쪽으로 놓인 중심널길로 길이 110㎝, 너비 70㎝다복 다재 슬롯. 널방 바닥에는 자갈이나 숯을 깐 흔적이 없고 흙뿐이며 관대도 없다. 출토유물로는 검은 색의 넓은 입 긴 목항아리(廣口長頸壺) 3점이 있으며, 관정 3점이 널길과 널방 내에서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