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다복 이 슬롯동 1호분은 평양 다복 이 슬롯동 고분군에 포함되어 있으며천장부가 완전히 유실되어 사라졌다. 봉토는 방대형으로 조사 당시 길이 20m, 높이 3.5m로써 대형급이었다. 널길〔羨道〕이 널방〔玄室〕 남벽의 동쪽에 치우친 대표적인 다복 이 슬롯도(四神圖) 위주의 외방무덤〔單室墓〕으로서, 주벽(主壁) 상부 이상은 파괴되어 없어졌다.
널방 크기는 동서 3.06m, 남북 3.3m로서 정방형에 가까우며, 벽면 높이는 1.5m 가량 된다. 벽화는 잘 바른 회벽 위에 다복 이 슬롯도를 그렸지만, 청룡·백호·현무의 일부만 확인되었다. 다복 이 슬롯 표현 양식은 고식(古式)에 속하는데, 청룡도와 백호도에는 각각 “□신광난□□□진력(□神光難□□□進力)”과 “백신원락길□(白神□□遠洛吉□)""호(虎)"〔‘신(神)’ 옆 괘선 바깥쪽에 ‘호(虎)’라는 글자가 써져 있음〕라는 묵서가 있다.
그밖에 남벽에는수문장이 그려져 있고, 각 벽에는 건축의장과 불꽃무늬( 화염문(火炎文))가 남아 있다. 이는 생활풍속도 계통 벽화의 전통을 잇는 것으로써, 고산동 1호분이 다복 이 슬롯도로 전환되던 과도기적 형식임을 말해준다.
널길에는 문지기 개〔門犬〕같은 괴수(怪獸)를 그렸고, 주벽에는 사격(斜格)의 바둑 문대(文帶)를 벽면 아랫부분 1/3정도에서 옆으로 그어 상하 2단으로 만들고 상부의 넓은 공간에는 다복 이 슬롯, 하부에는 삼각불꽃무늬(삼각화염문(三角火炎文))과 곡선구름무늬(곡선 운문(曲線雲文)) 등을 가득 그려넣었다.
불꽃무늬(화염문)는 중기의 것을 닮았고 둘레 가장자리의 C자문도 뚜렷하다. 다복 이 슬롯은 비교적 세화(細畵)로서 강서 대묘(江西 大墓)의 그것을 연상시키나, 현무의 모습은 고졸하여 이 고분이 중기와 연결되는 가장 초기의 다복 이 슬롯총임을 알 수 있다.
다복 이 슬롯도의 치밀한 표현으로 보아 이 고분은 5세기 후반이나 늦어도 6세기 전반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