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다재 슬롯 평상 ()

목차
관련 정보
주생활
물품
나무 또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그 위에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만든 대(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다재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나무 또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그 위에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만든 대(臺).
내용

방 안에 놓고 주로 잠을 자는 데 사용하는 침상과 마당이나 뜰에 놓고 사람이 앉거나 걸터앉는 데 사용하는 뜰마루가 다복 다재 슬롯. 평상은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인공을 묘사한 장면 중에서 자주 나타나고 다복 다재 슬롯.

좀 높은 대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 중에는 방장으로 가려진 별도의 공간에 앉아 있는 모습도 다복 다재 슬롯. 이것은 방장으로 네 면을 가린 침상에 앉아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침상은 조선시대 왕궁이나 고관대작의 집에서도 사용되었다.

두 짝을 붙여 하나가 되는 구성인데 앞 뒤의 3면에 낮은 난간을 설치하여 잠결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바닥이 듬성듬성한 살대로 되어 있어서 여름에 시원하게 지낼 수 다복 다재 슬롯. 뜰마루는 여름에 안마당에 옮겨놓고 밤하늘을 보거나 달빛을 감상하는 데 쓰이는 이동식 마루라 할 수 다복 다재 슬롯.

네 다리가 달려 침상처럼 생겼으나 그보다 크고 소박하며, 널빤지로 되어 다복 다재 슬롯. 보통 때는 봉당에 놓여 툇마루와 같은 구실을 한다.

참고문헌

『다복 다재 슬롯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다복 다재 슬롯 (1)
집필자
신영훈(전 문화재관리국, 건축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다복 다재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다복 다재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복 다재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