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복 다재 슬롯 파찰음 ()

목차
문자
개념
두 조음기관을 폐쇄시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일시에 파열시키지 않고 천천히 내보내면서 마찰시키는 언어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다복 다재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 조음기관을 폐쇄시켜 공기를 압축하였다가 일시에 파열시키지 않고 천천히 내보내면서 마찰시키는 언어음.
내용

폐쇄작용과 마찰작용을 함께 일으키기 때문에 파다복 다재 슬롯 대신에 폐다복 다재 슬롯(閉擦音)이라 부르기도 한다.

현대국어의 파찰음으로는 /ㅈ ㅉ ㅊ/ 세 가지뿐이다. 이들은 혓바닥의 일부분을 경다복 다재 슬롯(硬口蓋)에 대고 공기를 폐쇄시켰다가 혓바닥을 떼면서 마찰시켜 발음하는 다복 다재 슬롯음으로서의 파찰음인 것이다.

이들 파다복 다재 슬롯은 어두나 어중에서의 음절초에서 ‘자다·짜다·차다’나 ‘손자·진짜·기차’ 등과 같이 쓰이지만 음절말 위치에서는 폐쇄음만이 실현되고 마다복 다재 슬롯이나 파다복 다재 슬롯은 실현되지 않아 표기와는 달리 쓰이지 않는다.

『훈민정음』에서는 이 /ㅈ ㅉ ㅊ/을 /ㅅ ㅆ (ㅿ)/과 함께 치음으로 분류하였는데, 15세기에 이 치음들은 다복 다재 슬롯음 〔 tʃ 〕 와는 달리 잇몸에 혓바닥의 앞부분을 대면서 마찰시키는 파찰음으로서의 〔 ts 〕 계열이었던 것이다.

이 치음 /ㅈ ㅉ ㅊ/이 대체로 17세기에 다복 다재 슬롯음으로 바뀌면서 이어서 다복 다재 슬롯음화현상을 맞이하게 되었다. 15세기에는 ‘초(tso)’와 ‘쵸(tszo)’가 구별되던 것이 치음의 다복 다재 슬롯음화 이후로는 동음이의어가 되고 말았고, 이어서 설음(舌音)이었던 /ㄷ ㄸ ㅌ/의 다복 다재 슬롯음화가 잇따라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대의 대부분 방언들에서는 /ㅈ ㅉ ㅊ/이 다복 다재 슬롯음의 파찰음으로 어두와 어중에서 실현되나 오직 서북방언(대체로 평안도방언)에서는 15세기의 중앙어에서처럼 치음(또는 치조음)으로 실현되었는데, 최근의 북한의 이른바 문화어에서는 다복 다재 슬롯음화된 파찰음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바디>바지, 같이>〔가치〕’ 등과 같은 다복 다재 슬롯음화로서의 음운변화에 의한 개신형(改新形)을 문화어로 삼은 셈이다.

참고문헌

『언어』(김진우, 탑출판사, 1985)
『국어음운사연구(國語音韻史硏究)』(이기문, 한국다복 다재 슬롯연구총서, 1972 ; 탑출판사, 1977)
『국어음운학(國語音韻學)』(허웅, 정음사 1965)
집필자
이병근(서울대학교, 국어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다복 다재 슬롯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다복 다재 슬롯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