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퇴헌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조영순의 시 · 소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조영순의 시 · 소 · 서(書)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활자본. 아들 원철(元喆)과 정철(貞喆)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편집, 간행하였으며,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권두에 김이양(金履陽)의 서문이, 권말에 김조순(金祖淳)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361수, 권4∼7에 소(疏) 14편, 서(書) 77편, 제문 11편, 고문(告文) 5편, 잡저 5편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수록되어 있다. 시는 우아하나 사실적이며, 날카로운 시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강루춘일(江樓春日)」·「수야(守夜)」·「주유백마강(舟遊白馬江)」·「함흥도중(咸興途中)」·「선죽교(善竹橋)」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대표작이다.

소의 「사부수찬급진소회소(辭副修撰及陳所懷疏)」는 부수찬직을 사임하면서 자기의 뜻을 밝힌 글이다. 서(書)는 대개 일상사에 관한 것이나, 「상여호박선생(上黎湖朴先生)」의 별지는 심성과 『중용』에 대한 질문에 답한 글이다.

잡저의 「복수설(復讐說)」에서는 부모의 원수와는 하늘을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할 수 없으며, 형제의 원수와는 나라를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할 수 없으므로 원수를 갚는 의리는 크다고 전제하고, 만약 원수를 갚지 않는다면 춘추의 뜻이 없다고 말하였다.

「자지명(自誌銘)」은 자기의 일생이력을 연대별로 정리하고 사상과 학문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 밖에도 민진원(閔鎭遠)의 죽음을 애도한 「제단암민선생문(祭丹巖閔先生文)」이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크레이지 슬롯 카이토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