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숨 무기 슬롯 통감속편 ()

목차
관련 정보
통감속편 본문
통감속편 본문
출판
문헌
국가유산
원나라 말과 명나라 초 사이 진경(陳桱)이 편찬한 편년체의 역사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야숨 무기 슬롯속편(通鑑續編)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95년 03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야숨 무기 슬롯학중앙연구원 (운중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야숨 무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원나라 말과 명나라 초 사이 진경(陳桱)이 편찬한 편년체의 역사서.
내용

1995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24권 6책. 활자본.

중국 고대의 반고씨(盤古氏)로부터 고신씨(高辛氏)까지, 거란(契丹)에서 오대(五代)까지, 송 태조(太祖)에서 상흥(祥興) 2년(1279)까지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경자자본(庚子字本)야숨 무기 슬롯.

서(序)·목록(目錄)·서례(序例)는 계미자로 찍었다. 원(元) 지정(至正) 21년(1361)에 중국에서 간행된 바 있고, 60년 뒤인 1422년(세종 4)에 우리나라에서 동활자로 찍어낸 것야숨 무기 슬롯.

편찬자 진경이 이 『야숨 무기 슬롯속편』을 편찬하게 된 동기를 보면, “사마광(司馬光)의 『자치야숨 무기 슬롯(資治通鑑)』과 주희(朱憙)의 『강목(綱目)』은 모두 주(周) 위열왕(威烈王)에서 오대에 끝나고, 위열왕 이상은 원(元) 김이상(金履祥)의 전편(前編)이 있기는 하나 또한 요(堯) 임금에서 끊어졌다. 그래서 이 『야숨 무기 슬롯속편』을 지어, 머리에 반고에서 고신씨까지 기술함으로써 김이상의 미비함을 보완하여 제1권 세편(世編)으로 하고, 다음에 거란 및 오대 때의 일을 모아 제2권 외편(外編)으로 하고, 그 다음 3권에서 24권까지 22권은 송 태조에서 상흥까지 송대(宋代)의 일을 기록하여 야숨 무기 슬롯(通鑑)의 뒤에 이어붙였다. 그래서 『야숨 무기 슬롯속편』이라 이름한 것이다.”라 하였다.

책 머리에 1361년(지정 21) 주백기(周伯琦)의 서가 있고, 다음에 1358년 진기(陳基), 1362년 총계당(叢桂堂), 그리고 강절(姜浙)의 서, 찬자(撰者) 진경의 1350년 서가 있다. 그리고 책 뒤에 1422년(세종 4) 변계량(卞季良)이 지은 주자발(鑄字跋)이 있다.

또 이 책에는 ‘집희경지(緝熙敬止)’·‘눌재(訥齋)’·‘국로(國老)’·‘효중(孝仲)’ 등의 소장인이 찍혀 있는데, 특히 ‘집희경지’는 문종의 세자 단종이 공부하던 자선당(資善堂)의 서적에 찍은 도장야숨 무기 슬롯.

조선 초기 경자자로 찍은 책으로 완질본일 뿐만 아니라, 특히 자선당 소장본이란 점에서 서지학 및 고인쇄기술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야숨 무기 슬롯.

집필자
이정섭(문화재관리국, 한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야숨 무기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야숨 무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야숨 무기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야숨 무기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