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는 태어난 아기의 생명선이며 근원이 된다고 하여 예로부터 소중하게 다루어졌다. 그것도 신분이 귀한 사람이나 계급이 높은 사람의 가정일수록 죽은 시신과 같은 취급을 받아왔다.
왕실에서는 아기가 새로 태어나면 그 태를 소중하게 취급해 전국에서 길지(吉地)를 골라 태실을 만들어 안태하였다. 장소의 선택과 길일을 정하는 일은 관상감(觀象監)에서 맡아 처리하고, 태의 호송과 태실의 역사는 선공감(繕工監)에서 하였다. 장태(藏胎)와 티 카페 슬롯 수개(修改)에 관한 모든 일을 계사(啓辭)와 장계(狀啓), 감결(甘結)과 관문(關文) 등을 통하여 정중하게 처리하였다.
처음 태실의 선정은 일반 왕자나 공주 등과 같이 장태처의 비망(備望), 장태길일의 선정, 잡물의 준비, 도로의 수선, 시역(始役)·개기(開基)·발태(發胎)·봉토(封土)·필역(畢役)·고후토제(告后土祭)·태신안위제(胎神安慰祭)·사후토제(謝后土祭) 등의 절차에 의해 이루어진다. 처음 태실을 정해 태를 봉안할 때는 태실에 대한 장식이 호화롭지는 않으나, 왕이 즉위하는 해 티 카페 슬롯으로 봉해지면 태실 내부와 외부의 장식이 달라진다.
태실을 티 카페 슬롯으로 가봉하면 태실의 내부와 주위에 석물(石物)을 추가로 시설하는데, 내부에는 동석(童石)·개첨석(蓋詹石)·상석(裳石)·귀롱대(龜籠臺) 등을 만들고, 외부에는 석난간(石欄干)·연엽주석(蓮葉柱石)·횡죽석(橫竹石)·우전석(隅磚石)·표석(標石)·비석(碑石) 등을 비치한다. 석물을 설비하는 데도 절차는 장엄해 택일·시역·개기·조배(造排)의 순으로 진행하고, 필역을 한 뒤에는 고사유제(告事由祭)·고후토제·사후토제 등을 행한다.
티 카페 슬롯의 부근에 있는 관할 관서에서는 매년 춘추로 티 카페 슬롯을 순행해 도벌, 태실의 손괴, 천재지변 등 티 카페 슬롯에 영향이 미치는 일이 발생하면 즉시 보고해야 하며 보수책까지도 진언해야 한다. 티 카페 슬롯에는 태실을 중심으로 사방 300보(540m) 안에는 경지를 개간하는 행위를 금하며, 만약 위반하는 사례가 발생하면 국법에 의해 엄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역대 왕의 티 카페 슬롯이 있는 고을에는 그 자격이 승격되어 필역 후에는 유공자에게 상사가 행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