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 게임 슬롯 태고화상어록 ()

목차
관련 정보
태고화상어록
태고화상어록
불교
문헌
고려말 공민왕 20년(1371년)에 국사(國師)로 책봉되었던 태고(太古) 보우(普愚, 1301-1382) 스님의 상당(上堂)ㆍ시중(示衆)ㆍ법어(法語) 등을 수록한 불교서. 법어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sa 게임 슬롯습니다.
sa 게임 슬롯 요약

『태고화상어록』은 고려말 공민왕 20년(1371년)에 국사로 책봉되었던 태고 보우 스님의 상당·시중·법어 등을 수록한 불교서이다. 2권 1책, 목판본으로, 제자 설서가 편집하였다. 저자의 법어, 가음명, 찬문, 발문 등 다양한 저술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대표작인 〈태고암가〉는 저자가 삼각산 중흥사에서 안거할 때 깨달음을 노래로 읊은 작품이다. 참선과 염불의 수행법을 제시하며, 염불을 방편적 화두로 보았다. 또한 종파불교의 대립을 지양하면서 선과 교의 겸수를 주장하며 선교원융의 자세를 취했다.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상적 연원을 알 sa 게임 슬롯는 중요한 저술로 평가된다.

목차
정의
고려말 공민왕 20년(1371년)에 국사(國師)로 책봉되었던 태고(太古) 보우(普愚, 1301-1382) 스님의 상당(上堂)ㆍ시중(示衆)ㆍ법어(法語) 등을 수록한 불교서. 법어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제자 설서(雪栖)가 편집하였다. 권상은 상당법어(上堂法語) 9편, 시중(示衆) 1편, 일반법어(一般法語) 22편, 저자의 역작인 가음명(歌吟銘) 6편, 권하는 가송(歌頌) 109편, 찬문(讚文) 12편, ≪백장청규 白丈淸規≫ 간행에 대한 발문(跋文) 1편, ≪치문경훈 緇門警訓≫을 중간(重刊)하는 서문(序文) 1편 등이 수록되어 sa 게임 슬롯.

가음명은 <태고암가 太古庵歌> · <잡화삼매가 雜華三昧歌> · <산중자락가 山中自樂歌> · <운산음 雲山吟> · <참선명 參禪銘> 등sa 게임 슬롯. 이 중 <태고암가>는 저자가 41세 되던 1341년(충혜왕 복위 2)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 태고암을 짓고 5년을 안거(安居)하면서 그 본연(本然)의 소식(깨달음의 경지)을 노래로 읊은 것sa 게임 슬롯.

이 노래는 정서가 깊고 내용이 절절하여 초심자(初心者)에게나 도에 깊이 들어간 자 모두에게 진리를 바로 찾을 sa 게임 슬롯게 하는 지침이 되고 있다. ≪서장 書狀≫보다 진리적이고, ≪신심명 信心銘≫보다 정서적이며, ≪벽암록 碧巖錄≫보다 의지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이 노래의 내용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① 본연(本然)의 세계는 국한이 없고 분별이 없으되, 태고에 부는 시원한 바람을 만나 여여부동(如如不動)한 자리를 찾는 데 sa 게임 슬롯. 그것은 다시 지금을 비추어주는 능력이 된다는 의지(意旨)이다.

② 그 본연의 세계는 방하착(放下着)하여 망상을 버리고, 달빛이 차가워 시원한 바람이 가슴을 스칠 때까지 정력(精力)을 다하는 노력이 긴요함을 강조하였다. ③ 본래 없는 본연 속에서 청빈을 지키는 것이 승려의 본분이요 나갈 길이니, 힘써 수도하면 살 길은 자연 부처님이 보장해 주므로 부지런히 닦을 것을 권한다.

그동안 선가(禪家)에서는 염불과 노래를 중시하지 않았는데, 이곳에 암시된 구절을 보면 염불과 정서에 차 있는 호탕한 노래를 즐겼던 점이 특이하다. 이 밖에도 이 책에는 참선과 염불의 수행방법에 대한 지침 등 일관된 중요사항들이 sa 게임 슬롯.

참선의 방법으로는 간화선(看話禪)에 의거하고 있고, 간화의 방법은 만법귀일(萬法歸一)로 큰 망상을 떨쳐버린 후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 sa 게임 슬롯를 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무불성 sa 게임 슬롯를 드는 때인 간화경계(看話境界)중에는 스승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구자무불성 화두는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삼세제불(三世諸佛)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찾는 데 목적이 sa 게임 슬롯고 보았다. 그리고 저자는 다른 선가의 스승들과는 달리 특별히 염불에 관한 본의(本意)를 제시하고 수행방법 중 필수적인 것이라고 보았다.

마음 밖에 부처가 없고 부처 밖에 마음이 없으며, 마음과 부처와 중생의 세가지가 본래 차별이 없는 것이므로, 진심으로 염불하면 자성미타(自性彌陀)가 될 sa 게임 슬롯고, 항상 아미타불을 염하여 타성일편(打成一片)이 되면 결국 화두를 깨치는 것과 다름이 없는 대오(大悟)의 경지에 이른다고 하였다. 즉 염불을 방편적 화두로 본 것이다.

또한 종파sa 게임 슬롯의 대립과 모순을 지양해야 한다는 큰 염원에서 선과 교의 어느 한쪽에만 치우치는 일이 없이 겸수(兼修)할 것을 주장하였고, 종무행정(宗務行政)의 면에서도 구산원융(九山圓融) · 오교홍통(五敎弘通) 등 선교원융의 자세를 취하였다.

이 책은 정몽주(鄭夢周) 등으로부터 차원 높은 사상이 담긴 문헌으로 평가되었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사상적 연원을 알 sa 게임 슬롯는 중요한 저술이다. 고간본(古刊本) 및 소장처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대판으로는 이종욱(李鐘郁)이 1940년 월정사(月精寺)에서 간행한 ≪태고집 太古集≫과 ≪한글대장경≫ 제153 등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sa 게임 슬롯』(한기두, 원광대학교출판국, 197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위석(전 경북대학교, 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sa 게임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sa 게임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