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도 어 슬롯 강화 탄보묘 ()

유교
유적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촉나라 장수 관우를 배향하던 사당. 관왕묘.
이칭
이칭
황조별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고금면에 있었던 조선후기 촉나라 장수 관우를 배향하던 사당. 관왕묘.
개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명나라의 원병인 수군도독 진린(陳磷)과 그 부하인 부총병(副摠兵) 등자룡(鄧子龍)이 이 섬에 유진할 때 촉한명장 관우(關羽)의 신력을 빌려서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자 관왕묘를 지어서 관우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낸 것이 시초가 된다.

그 뒤 1666년(현종 7) 전라우수사 유비연(柳斐然)이 중수한 뒤 옥천사(玉泉寺)의 승려를 시켜 수호하게 하였고, 조정에 청하여 묘정에 서무(西廡)를 짓고 진린과 이순신(李舜臣)을 추배하였다.

내용

1684년(숙종 10) 전라도관찰사 이이명(李頤命)이 묘무(廟廡)를 중수한 뒤 처음 사액을 청하였고, 그 뒤 이순신의 증손 광보(光輔)가 수군절도우후(水軍節度虞候)가 되어 이 섬에 부임하자 묘정비문을 지어서 비석을 세웠다.

1763년(숙종 39)에 영상 이이명의 소로 ‘섀도 어 슬롯 강화(誕報廟)’라 어필 사액한 뒤부터 섀도 어 슬롯 강화라 부른다. 1792년(정조 16) 당시 등자룡을 왕명으로 배향하고 관원을 보내 제사를 지내면서 국난에 기여해준 공을 치하였다.

등자룡은 당시 70세가 된 노장이었으나 200여명의 용사를 이끌고 싸우다가 이순신이 위험에 빠지자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그 배에 뛰어들어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1832년(순조 32) 다시 관원을 보내 치제하였고, 섀도 어 슬롯 강화에 조복을 갖추어둔 뒤 조관이 그 섬에 공사간의 일로 갔을 때 직위의 고하를 막론하고 알묘의 예를 행하도록 왕명으로 지시하였다. 1837년(헌종 3)에도 관원을 보내 제사를 지낸 바 있다.

참고문헌

『광진읍지(廣津邑誌)』
『동정지(東征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섀도 어 슬롯 강화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섀도 어 슬롯 강화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섀도 어 슬롯 강화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